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갈미 / 갈밭 / 갈빗대 / 갈이 / 갈증

갈미(Carmi)

1. 유다 지파에 속한 자로서 삽디의 아들이며, 여리고에서 하나님께 바친 물건을 몰래 취함으로써 이스라엘을 욕되게 한 아간의 아버지이다(수 7:1,18). 역대기에는 그의 이름이 '가르미'로 표기되어 있고, 그의 아들 아간은 '아갈'로 표기되어 있다(대상 2:7). 역대상 4:1에 나오는 갈미에 대해서는 이와 동일한 인물로 보는 견해와 갈렙의 또다른 이름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그 어느 쪽도 확실하지 않다. 

2. 야곱이 애굽으로 내려갈 때 함께 내려간 르우벤의 막내 아들로서 하녹과 발루 및 헤스론의 형제를 가리킨다(창 46:9). 갈미의 형제들로부터 르우벤 자손이 생겼고(출 6:14), 갈미로부터 갈미의 가족이 시작되었다(민 26:6). 

 

갈밭(meadow)

갈대밭의 준말로서 갈대가 우거진 뻘. 성경에서는 이곳을 들짐승, 하마 등이 거처하는 장소로 묘사한다(욥 40:20; 시 68:30). <참조> 갈대

 

갈빗대(rib)

내장 기관을 보호하고 흉곽을 구성하기 위하여 척추에서부터 몸체를 감싼 것으로 늑골이라고도 부른다. 히브리어 원어상으로 '옆구리', '측면'을 가리키는 데서 '갈빗대'라는 의미가 생겨났다. 성경에는 이 말이 창조와 관련하여서 언급되었는데, 하나님께서는 아담의 갈빗대 가운데 하나를 취하여 하와를 만드셨다(창 2:21-23). 여기에서 언급된 갈빗대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 있어서 여성의 열등한 위치를 나타내려 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남성과 여성이 하나님 앞에서 똑같이 갖는 친밀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며(창 2:23), 이는 또한 하나님께서 남성과 여성으로 하여금 두 사람 안에서만 온전한 관계를 발견할 수 있도록 의도하신 사실, 즉 둘 사이의 연속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스라엘과 근동 지역에서 갈빗대가 사랑하는 대상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 사실을 통해 볼 때 그 의미가 더욱 분명해진다.

한편 이것은 다니엘의 환상 가운데에서 두번째 등장하는 짐승이 입에 물고 있던 것으로 언급되기도 하였다(단 7:5). 그 짐승은 곰처럼 생겼고, 그 입에 세 개의 갈빗대를 물고 있었다고 하였다. 이 짐승은 메대, 바사 제국을 상징하며 세 갈빗대는 바사 제국이 정복하여 합병시킨 세 나라, 즉 바벨론, 루디아, 애굽을 가리킨다.

 

갈이(acre)

논밭을 가는 일, 또는 한 사람이 하루에 갈 수 있는 논밭의 넓이를 의미한다. 원어의 의미인 '멍에'에서 파생되었다. 즉, 한 겨리(쌍)의 소가 하루에 갈 수 있는 면적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 말로서, 약 2,000km를 말한다. 따라서 이사야 5:10에 언급된 '열흘갈이'는 한 겨리의 소가 열흘 동안 경작할 수 있는 면적을 나타낸다. 그것은 약 5 에이커, 즉 약 20km가 된다. 

 

갈증(thirst)

갈급증의 준말로서 목마름(사 29:8)을 뜻한다. 하나님께서 제2의 출애굽이 일어날 때 다시 한 번 그의 백성들의 목마름에 응답하겠다고 하신 약속에서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사 4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