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나무1 / 나무2 / 나무에 달린 자 / 나무우상 / 나무진

나무1(tree)

팔레스타인의 나무는 주로 식량, 건축 재료, 그늘 등으로 사용되었다. 성경에는 나무가 하나님의 권능이 계시되는 상징물로 종종 언급되는데, 떨기나무, 생명나무 등이 그것이다. 성장하고 잎이 푸른 나무는 축복의 상징이다. 구약에서 나무는 백성(사5:7;겔15:2), 특별한 나라들(10:17-19;겔17:22), 장수(사65:22), 소망(욥14:7-9)을 비유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에서는 믿음(마3:10;7:17-20), 천국(마13:32)을 상징한다.

 

나무2(wood)

개역성경에는 그 차이가 드러나지 않으나 주로 땔감이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로서의 나무는 생명이 있는 수목과 구별하여 복수형으로 사용하였다. 특히 이 단어는 제단에서 번제물을 태울 때 쓰이는 나무를 의미하는데, 신약에서 예수의 십자가에 달려 죽으심을 '나무에 달린 자'라고 표현할 때에도 이 단어를 사용했다. 이는 번제단의 제물이 예수의 죽음을 상징하는 대표적 의미가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갈3:13). 

 

나무에 달린 자(one who is hang on a tree)

고대에는 흉악범, 전쟁 포로 등을 죽인 후 나무에 매달아 날짐승의 먹이가 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창40:19;수10:26;삼하4:12). 신명기 21:23에는 이러한 자의 시체를 해가 넘어가도록 두지 말고 당일에 장사하도록 명하고 있다.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의 저주를 받은 자이기 때문이다(수8:29;10:26-27;요19:31). 신약에서는 나무에 달려 저주받은 자가 곧 예수이며, 이는 우리의 죄악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라고 증거하고 있다(행13:29;갈3:13;벧전2:24). 

 

나무우상(wooden idol)

나무에 조각하여 만든 우상을 말하는 것으로 우상의 허무성을 야유하는 의미가 들어 있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정착하기 이전부터 가나안 거민들은 바알과 아세라의 상을 나무에 조각하여 숭배하고 있었다. 모세와 선지자들은 유일하신 하나님만을 섬기도록 누누이 강조하였으나 이방 우상들은 선지자 미가 시대까지 존속하였다(출23:24;사45:20;미5:13). <참조> 우상, <비교> 주상.

 

나무진(pitch)

나무의 수액에서 추출해 낸 방수도료의 일종으로 종종 역청과 병용하여 사용되었다. 요게벳이 아기 모세를 넣은 갈대상자에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이것을 칠했다는 기록이 있다(출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