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나오미 / 나욧 / 나인 / 나일(강)

나오미(Naomi)

베들레헴 사람 엘리멜렉의 부인. 모압에서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모압 사람인 며느리 룻과 함께 고향으로 돌아왔다. 나오미는 원래 '기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나, 그녀는 심한 괴로움으로 스스로를 '마라'(괴로움)라고 칭하였다. 그녀는 며느리 룻을 권고하여 보아스와 결혼하도록 도왔고(룻3:1-6), 후에 그 사이에서 출생한 오벳을 돌보아 주었다(룻4:16-17).

 

나욧(Naioth)

예루살렘에서 멀지 않은 베냐민 지파의 거주지 '라마' 혹은 그 근처에 있던 땅. 다윗이 사울을 피하여 사무엘에게 갔을 때 이곳에서 머물렀다(삼상19:18-20). 이곳은 일군의 선지자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던 곳이었다. 사울이 다윗을 잡으려고 이곳까지 추적해 왔지만 오히려 사울 자신이 선지자의 영에 감동되어 사무엘 앞에서 예언을 하였다. 이 때문에 '사울도 선지자 가운데 있느냐?'라는 속담이 생겨났다. 

 

나인(Nain)

갈릴리 근처의 마을로 오늘날의 '네인'이다. 성벽은 없고 성문만 있었는데, 여기에서 어느 과부의 죽은 아들을 예수께서 살리셨다(눅7:11-17). 이 성읍은 '작은 헤르몬 산'이라고도 불리는 '모레 언덕'(the Hill of Moreh)의 북서쪽 경사면에 아름답게 자리잡고 있다. 동쪽에는 고대의 돌로 판 무덤들이 있다. 

 

나일/-강(Nile)

아프리카 동부를 북류하는 강으로 길이 6,690km, 총유역 면적 300만 7,000km2, 위도차가 30도에 이르는 세계에서 제일 긴 강. 원래 구약의 히브리어 본문에는 '나일'이라는 고유명사가 없다. 그러나 성경에서 일반적으로 '강'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는 시편 72:8에서와 같이 몇몇 모호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나일 강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히브리어로 나일을 가리키는 단어는 애굽어로 '강'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에 해당한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땅(기업)을 약속하실 때는 이 강을 '애굽 강'(the river of Egypt)이라고 하였다(창15:18). 또한 이사야 23:3에 나타나는 '시홀'도 나일 강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일 강은 백 나일 강 수계인 빅토리아호로 흘러드는 최대의 하천 카케라 강에서 발원하여 백 나일 강, 청 나일 강 등 많은 지류를 합쳐 북류한다. 청 나일 강은 건기가 뚜렷한 이디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수단의 카르툼 근처인 제 6폭포에서 맑은 백 나일강과 합류하여 나일 강을 이룬다. 카르툼과 와디 핼파 사이에서 나일 강은 S자 모양으로 흐르는데 바로 이 부분에서 폭포(제2-제6)라고 할 수 있는 급류들이 진행되면서 카이로 북쪽 삼각주 모서리에서 로제타와 다미에타의 동서 두 줄기로 나뉘어져 지중해로 흘러 들어간다. 카이로 부근을 정점으로 하는 나일 강 삼각주는 대 오와시스를 형성한다. 해마다 치러지는 홍수로 각 유로 연안에는 자연제방이 발달되어 있고 자연제방에 끼인 저습지에 인공둑을 쌓아 그 안에 증수기에 범람하는 물을 끌어들여 1개월 정도 흙탕물 속에 영양분이 풍부한 진흙을 가라앉혔다가 방류한 다음, 다음해까지 비료없이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이 지역의 전통적인 범람관개 농법이다. 그러나 1835년에 앞에서 말한 2대분류 기점에 둑을 쌓고, 그 뒤 1902년에 아스완 댐, 1971년의 아스완 하이댐이 완성됨에 따라 홍수의 범람관개는 필요없게 되었다. 한편 예전에는 토양 속에 쌓인 염분을 씻어내리기 위해 담수작업을 이제는 하지않아 나일삼각주 일대에서는 염류토양의 형성에 따른 농경기반의 피괴가 심각한 문제이며 또 하천이 가져다 주는 토사가 댐으로 막히기 때문에 삼각주 지대의 유로 밑바닥이나 해안부가 침식을 받아 삼각주는 현재 축소되어 가고 있다. 고대 신화에 의하면, 여신 이시스가 해마다 나일 상류에서 눈물을 흘리는 것이 홍수가 된다고 믿었는데 헤로도투스 이후부터 '이집트는 나일의 선물'이라고 불렀다. 그것은 나일 강이 생산의 어머니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유역에서 풍부한 물고기, 조수, 농작물 파피루스 등이 생산되며 교통, 교역, 여행, 군사, 조선, 건축, 예술 등이 발전되었고, 정치, 경제, 문화, 종교 등 각 분야에 결정적인 역하을 하였다. 한편 에스겔은 애굽 왕 바로를 항하여 '나일 강에 엎드려 있는 큰 악어'라고 했으며(겔29:3), 이사야는 애굽의 멸망을 '나일 강의 물이 마르고 초장과 곡식이 마르는 것'을 묘사해서 예언했다(사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