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브림몬(Tabrimmon)
다메섹(시리아)왕 벤하닷 1세의 아버지이며(왕상15:18), 헤시온의 아들이다. 그의 이름 속에 들어 있는 '림몬'은 아카드인의 신 '림만'을 가리킨다.
다브엘(Tabeel)
1. 사마리아에 살고 있던 아람인으로, 유대인들의 성전 재건을 막기 위하여 아닥사스다 1세(B.C.465-424)에게 상소하였던 페르시아의 관리들 중 한 사람(스4:7).
2. 다메섹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베가가 예루살렘에 있는 다윗 혈통의 아하스를 폐하고 꼭둑각시 왕을 세우려는 계책을 세웠을 때 함께 동맹을 맺었던 왕들 가운데 한 사람의 아버지(사7:5-6).
다블래 사람(Tarpelite)
앗수르의 오스납발에 의해 사마리아로 상제 이주당한 앗수르 사람들의 부족명으로(스4:9-10), 다른 영역본 성경에서는 이 말을 바사의 관직명으로 번역하였다(RSV, JB).
다비다(Tabitha)
욥바 성에 살던 여신도. 그녀의 이름인 다비다는 도르가의 아람어식 이름이다. 그녀는 선행과 구제를 많이 베풀며 과부들을 많이 보살펴 조었다. 그러던 중 병으로 죽었다가 베드로의 기도로 인하여 다시 소생하게 되었다(행9:36-40). 베드로가 다비다에게 행한 이 이적은 그 지방을 전도함에 있어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계기가 되었다.
다소(Tarsus)
소아시아 남동해안에 있는 길리기아 지방의 수도로, 이곳은 특별히 이 도의 비옥한 지역인 길리기아 페디아스의 주요 도시이다. 지중해의 해안으로부터 내륙으로 16km 들어가 있는 이곳은, 키드누스라고도 불리는 다소 강의 오른쪽 평원에 위치해 있다. 다소는 아주 번창한 도시 중의 하나였는데 그것은 다소 강을 따라 항구들이 있어서 화물적재에 유용했고, 다소 산맥에는 대상들이 드나들 수 있는 대상로가 잘 닦여 있었기 때문이다.
이곳이 설립된 정확한 기원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발굴된 유적에 의하면 적어도 5,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역사적으로 B.C.9세기에 앗수르의 살만에셀 3세에 의해 정복되기도 하고, B.C.7세기에는 산헤립에 의해 약탈당하기도 했다. 바사의 지배하에 있을 때는 길리기아의 수도로 정해지기도 하는 등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그러다가 셀류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의 폭정에 대한 시민들의 반란으로 B.C.170년에는 어느 정도 자치권이 인정되었고, 로마의 가이사 때 완벽하게 자유시로의 권리를 찾았다.
성경에서는 바울과 관련되어 많이 나타나는데 이곳은 바울의 출신지였고(행9:11;22:3), 그의 사역 초기에 유대인 박해자에게 죽임을 당하게 될 것을 알게 된 믿음의 형제들이 바울을 피신시킨 곳이기도 하다(행9:30). 예루살렘 교회에서 안디옥으로 파송된 바나바는 이방인 선교를 위해 사울을 찾으러 다소로 와서 도움을 청하기도 하였다(11:25).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다아낙 / 다아낫 실로 / 다윗 / 다윗성 (0) | 2022.08.03 |
---|---|
(성경사전) 다소간 / 다스리다 / 다시 / 다시스1 / 다시스2 (0) | 2022.08.03 |
(성경사전) 다베라 / 다볼 / 다불과 / 다브네스 / 다브랏 (0) | 2022.08.03 |
(성경사전) 다메섹 / 다바네스 / 다밧 (0) | 2022.08.03 |
(성경사전) 다림줄 / 다마리 / 다말1 / 다말2 / 다말3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