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멱통 / 면 / 면대 / 면려 / 면류관

멱통(crop)

산 짐승의 목구멍을 말하며, 레위기 1:16에서는 제사드릴 제물을 잡을 때 버려야 할 것으로 멱통과 오물을 기록하고 있다. 

 

면(face)

얼굴이나 물건의 거죽을 뜻하며 체면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레미야 1:13에서는 물건의 한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성경에서는 이런 용법으로 쓰인 곳이 여러 곳 있따(왕하9:37;겔10:14;41:22). 

 

면대(face to face)

상대방과 얼굴을 마주대함. 성경에서는 편지나 기타 간접적인 수단이 아닌 직접 만나서 나누는 대화를 이렇게 표현하였다(요이12절; 요삼14절, 공동번역 '얼굴과 얼굴을 맞댐'). 

 

면려(encouragement)

'자극하다', '고무하다'라는 뜻으로, 열왕기하 18:32에 랍사게가 유다를 침공하여 유다 백성들에게 히스기야가 백성들을 설득하더라도 믿지 말라고 한 말에서 사용되었다. 이 말은 요시야가 제사장들에게 그들의 직분을 잘 감당하도록 독겨하였다는 기록에서도 나타난다(대하35:2, 공동번역 '격려', 새번역 '설득').

 

면류관(crown)

왕이나 운동 경기의 승리자들에게 주어졌던 관을 말한다. 구약에서 면류관은 일반적인 제복의 관과는 달리 주로 왕이 정복에 격식을 갖추어 쓰던 것을 말한다. 왕이 쓴 면류관은 격식과 위엄을 나타내는데, 다윗의 면류관은 하나님께서 씌워 주신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다윗의 왕권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시21:3;132:8). 한편 구약에서는 노인의 머리에 백발을 면류관으로 상징하고 있는 구절도 보인다(잠16:31). 의로움으로 평생을 살아간 사람이 가질 수 있는 명예와 영광을 면류관에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면류관은 교만을 상징하기도 하였다(욥31:36;사28:1,3).

헬라어 원어로 사용된 단어는 본래 경기의 승자에게 씌워지는 월계수관이나 경축제전에 쓰이는 축제용 화관을 뜻한다. 바울은 선수들이 운동 경기에서 승리하여 면류관을 얻기 위해 자신을 절제하고 훈련하는 것처럼 신앙의 훈련을 권면하였다(고전9:25). 시험을 이겨 낸 사람과 죽도록 충성한 자가 얻게 될 영광을 일시적인 영광과 대조시켜 '생명의 면류관'이라 지칭하는데, 이는 모든 신자가 도덕적, 영적 시험을 이긴 후에 얻을 마땅한 보상이다(약1:12;계2:10). 또 의의 면류관(딤후4:8), 영광의 면류관(벧전5:4)이 있다. 면류관은 박해 가운데서도 그 신앙을 잃지 않는 자에게 주어질 것이기 때문에(계3:11) 누구에게도 면류관을 빼앗지 못하게 하라고 주님은 말씀하셨다. 하나님의 보좌를 둘러 있는 24보좌에는 금면류관을 쓴 장로들이 앉아 있다(계4:4). 그 외에도 요한계시록에는 용과 짐승, 그리고 백마 탄 자가 면류관을 쓰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계12:1,3;13:1;19:12). 이때 면류관은 원어상 신약의 다른 곳에서 쓰이고 있는 말과는 달느 '디아데마'로 단순히 '왕관' 또는 '관'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