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항해하다 / 해1 / 해2 / 해3 / 해갈

항해하다 go down to the sea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는 것을 의미한다. '항해하다'는 원어상'(선원들이 바다로 내려가다' 라는 뜻을 지닌 말인데, 이는 서쪽으로 지중해와 그리고 동편으로 해수면보다 훨씬 고도가 낮지만, 물 깊이가 깊은 아라비아 계곡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팔레스타인 산지의 핵심적 위치에 있어 어디를 가나 '올라가거나' 혹은 '내려가야 하는 이스라엘의 지형적 특징으로부터 기인된 표현이다. 메시야를 통한 구원의 약속을 제시하고 있는 이사야 42장에서 '항해하는 자'는 구속의 노래를 불러야 할 주체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0절). 한편 에스겔 26:17에는 '뱃사람, 선원 생활을 하는 자'라는 의미의 '항해자' 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다.

해1 sun

창세기에 언급되어져 있는 하나님의 창조물 가운데 하나로서, '큰 광명' (창1:16)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것은 성경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먼저 이것은 시간과 방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시간의 의미로 사용되었을 경우 '해가 높이 뜰 때' (느7:3), 즉 '해가 뜨거워질 때' 는 오전 중간쯤을 가리키는 말이며, 해가 지는 것은 그날의 끝을 표시하였다(출22:26. 모세의 율법 중에서 절도행위에 대한 규정은 도둑을 죽인 자에 대한 살인죄의 성립 여부를 주간이냐 혹은 야간이냐에 따라 결정했는데, 그 주야간의 기준을 '해가 돋는 시점' 에 두었었다(출22:3). 반면에 해가 방향 측정의 기준이 되었다는 것은 구약성경에 언급되어 있는 동쪽과 서쪽이라는 단어가 각각 해뜨는 곳과 해지는 곳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의 번역어인 데서 알 수 있다(참고, 욘4:5;슥8:7).
전도서 기자는 해 위, 즉 하나님께서 계시는 영역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서 하나님이 없는 인간의 영역을 '해 아래' 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전1:3,14;2:17-18). 한편, 해는 땅의 각종 소산물('보물')을 풍성히 결실케 한다는 축복의 의미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신 33:14). 그러나 뜨거운 열풍(Sirocco)과 뙤약볕은 때로 인간에게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도 나타난다(욘4:8). 그렇지만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악영향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해 주시는 분이시다(시 121:5-6). 해는 의로운 통치자(삼하23:4), 혹은 하나님(시84:11), 왕위의 장구함(시89:36), 아름다움(아6:10) 등의 상징으로도 묘사되어 있다. 시편 72:5에서는 하나님께 대한 경외감과 관련하여 '해'를 언급하고 있다.
한편, 고대의 여러 나라들에서 해는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해를 하늘에 있는 최고의 신에 예속된 특수한 신, 지고한 존재의 한 속성, 신성한 부부의 한 성원) 등으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해 숭배는 오래 전에 애굽에서 유행했었던 바, '레'(Re)라는 이름의 최고의 신으로 예배되었었다. 애굽인들은 자신들의 군주 파라오를 태양신과 동등히 여기기도 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해는 정의의 신(샤마쉬)으로서의 역할을 했는데, 함무라비 왕이 샤마쉬로부터 정의의 법을 수수(授)받는 장면을 담은 부조는 그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지명 '벧세메스' '태양의 궁'을 뜻함. 참고, 수15:10;삼상6:12-20)나'엔 세메스' ('태양의 샘'을 뜻함. 참고. 수15:7) 등은 가나안 사람들 사이에도 해 숭배가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짐작케 한다.
그러나 이같은 행위는 이스라엘에서는 엄격하게 금지된 일이었다(참고, 출20:4;신4:16,19). 이스라엘에서 해는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하나님을 찬양하고(시 148:3), 하나님의 명령에 순응해야 하는 존재일 뿐(수 10:12-13;욥9:7;사38:8), 예배의 대상은 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 숭배 사상은 이스라엘에 여러 번 들어왔었으며, 그 흔적이 발견되어진다. 성경은 여러 차례 우상숭배와 관련하여 '태양상'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며(레26:30;대하14:5:34:4,7;사 17:8;27:9;겔6:4,6), 또한 유다 열왕이 해에게 말을 바치는 관습을 행했음을 지적하고 있다(왕하23:11). 이스라엘 백성들은 성소 앞 현관에서 해신에게 경배하는 패역한 행위까지 자행하였다(겔8:16. 참고, 왕하23:11).
성경은 마지막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때의 한 전조(前兆)로 '해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있을 것(욜2:31;암8:9;계6:12;8:12)과 또한 신천신지의 새시대에는 하나님의 영광이 어떤 빛보다도 찬란하여 햇빛이 쓸데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사60:19-20;21:23;22:5).

해2 year

개역 성경에서 해로 번역된 히브리어 '샤나'는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동안을 나타내는 시간적 의미를 지닌 말로 열두 달을 한 단위로 세는 통상적인 용례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창26:12;출12:2;삼상29:3; 렘28:17).하지만 때로는 역사적인 한 시점으로서의 특정한 때(사6:1;14:28;20:1)나 율법적으로 정해진 때(신26:12) 또는 '은혜의 해', '구속할 해' 와 같은 예언적인 중요성이 있는 표현(사34:8;61:2;63:4;렘11:23)으로 사용되었다. 그외에도 햇수나 연수(레25:27;10:5) 또는 세월(욥36:11;시77:5)을 의미하기도 하며, 특별히 욥기 32:7에서는 '오래 살아 연륜이 있는 사람' 을 '해가 오랜 자' 라고 표현하였고, 잠언 4:10에서는 살아가는 삶의 시간 즉 인생을 '생명의 해'로 표현하였다. 신약에서는 '해' 에 해당하는 헬라어로 '에니아우토스'가 사용되었는데'에니아우토스'는 본래는 '시간의 주기' 를 가리키는 말로서, 어떤 사건에 의하여 특징지워진 특별한 때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주의 은혜의 해”(눅4:19), “그해 대제사장 가야바”(요11:49,51;18:13), “너희가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삼가 지키니" (갈4:10) 등이다.
이 외에 '에니아우토스'는 '일년'으로도 번역되어서 '시간의 양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행11:26;18:11;약4:13;5:17), 매 해 반복되는 시간의 양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히9:7).

해3 hurt

건강, 물질, 사회적 지위 등 모든 것이 이롭지 못한 것에 대한 총칭이다. 해로 번역된 히브리어 원어는 악, 역경, 억압, 고통, 고난 등과 유사한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말로서, 기본적으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상호 관계를 진술하는 데 사용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자주 신체적 고통(민 16:15)이나 가족을 상실함으로 인해 겪는 것과 같은 감정적 고통(창43:6)을 수반하는 경험들을 가리킨다(창31:7;삼상25:34:26:21;사11:9;65:25;렘 25:6). 이때 사용된 '라아'는 '해' 를 끼치는 사람들의 경우 자신들의 행위의 참된 본질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을 전달하는 데 쓰여졌다(참고. 렘 4:22). 해를 끼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을 해칠 계획을 세우는데(참고. 잠24:8), 그러한 행위는 습관이 되어서 그들이 그러한 행위를 하지 않을 수 없는 정도에까지 이르게 된다(창19:9. 참고. 잠4:16. 한편 출애굽기 22:22에서 사용된 '해'는 히브리어 '아나'에 대한 번역어로 무방비 상태에 있는 자에게 무법으로 행한 행동을 묘사한 말이다. '해' 라는 단어는 어떤 사람에게 불의를 행하는 것이나 압박을 가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겔22:7). 때로 이 단어는 개인 행위의 사회적 차원을 반영하는데, 이러한 의미는 개인의 부정적인 행위가 그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전달하고 있다(잠11:17,29;15:27).
신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그릇 행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하는데(갈4:12), 사람을 대격으로 취하는 사도행전 7:26의 '해하다'는 동포끼리 서로 치며 싸우는 출애굽기 2:13을 번역한 말이다. 이 단어는 우주적 심판과 관련된 문맥에서도 여러번 언급되어 있다(계7:23;9:4,10,19). 사도행전의 몇몇 구절들에서는 이 단어를 그리스도의 수난(행1:3;3:18;173)과 그의 백성들의 고난9:16)을 나타내는 데 쓰고 있는데, 이때 '해'로 번역된 헬라어 '파스코' 는 해 받음으로 인한 고통스런 느낌보다는 '나쁜 일을 겪다' 라는 개념을 전달하는 데 더 강조점을 두고 있는 말이다. 이외에도 이 단어는 교회의 박해(행12:1), 경제적 손실(고후7:2), 형제의 권리 침범(살전4:6) 등 여러 가지 의미로 나타나 있다.

해갈 quench one's thirst

갈증을 푸는 것을 의미한다. 이 말은 시편에서 자연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묘사에서 언급되었는데, 시편 기자는 하나님께서 흐르는 작은 샘물을 통하여 들짐승들에게 필요한 물을 제공하신다고 노래하였다(시 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