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해빈 / 해산(하다) / 해석(하다) / 해안 / 해양

해빈 sea shore

해변과 같은 의미의 말이다. 공동의 대적을 앞에 두고도요단 해변에 남아 일상적인 생활에 연연하였던 아셀지파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 구절 가운데 언급되어 있다(삿5:17, 공동번역 '바닷가').

해산/-하다 birth

여자가 아이를 낳는 행위를 가리킨다. 구약성경에 언급된 원어상의 이 단어는 보통 '낳다'로 번역되어 있는 말로서(참고. 창17:17;18:13), 출산 이전에 겪는 고통을 포함하여 아이를 낳는데 관련된 전 과정을 가리키고 있다(창38:28) 임산부들이 겪는 해산의 고통에 관하여는 성경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고 있는데, 성경은 그것이 죄의 결과로 빚어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창3:16). 이 고통은 선지자들에 의해 종종 고난의 비유로 쓰여질 정도로(참고, 사 13:8;21:3;66:7-8;렘4:31;6:24) 견뎌내기 힘겨운 것이다. 호세아 선지자는 하나님의 구원을 거부한 이스라엘에게 임할 심판을 난산하는 여인의 진통과 같은 극단의 고통으로 표현하고, 또한 이스라엘이 태아가 산문(門)에 걸려 고통하는 여인처럼 시련 중에서도 회개치못함으로 재생의 기회마저 거부하는 어리석음을 범했음을 지적하고 있다(호13:13). 그러나 해산의 고통은 새 생명의 탄생이라는 희망을 내포하는 것인 바, 선지자 미가는 해산하는 여인이 고통 후 아이를 낳게 되듯 유다가 고통스러운 포로 생활을 거쳐서 결국은 구원으로 인도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미4:9-10).
한편 구약성경에 쓰여진 몇몇 원어상의 단어는 이스라엘 여인들의 해산에 관한 좀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조산'으로 번역되어 있는 히브리어 '오브나임' (출1:16)은 산대(産臺, birthstool)를 가리키는 것으로, '두 개의 돌' 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는 이스라엘의 여인들이 누워서가 아니라 좁은 간격으로 놓여진 두 개의 돌 위에서 웅크린 자세로 분만을 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고대인의 일반적인 습관을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애굽의 성각문자文字)에서는 '해산하다' 라는 뜻의 동사(mes)를 산모가 두 개의 돌 위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다. 욥기 3:12에서는 '무릎이 (아기를) 받았다'(히, '비르카임')라는 표현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태어나는 아기를 산파 또는 해산을 돕는 부인의 무릎에서 받기도 했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로 구브로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의 점토상은 산모가 다른 한 부인의 무릎에 기대어 그 부인의 도움을 받아 해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약성경에서 나타나는 이 단어는 대부분 아이를 ‘낳다’ 를 의미하고(눅1:57;23:29; 요16:21;계12:4), 몇몇 구절에서 출산의 고통에 대한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말로도 쓰여져 있다(갈4:19;살전5:3),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있는 데살로니가전서 5.3에서 이 단어는 집단적이거나 갑자기 임하는 고통을 나타내고 있는데, 바울은 여기서 이 단어를 통하여 자기 안정감 속에서 안일하게 사는 사람들에게 멸망이 예기치 않게 닥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하여 교훈하고 있다. 갈라디아서 4:19에서는 교회의 구성원들을 믿음에 이르게 하기 위한바울의 고통스러운 수고를 해산하는 수고' 에 견주어표현하고 있다. 한편 해산에 관련된 비유적 표현은 예수의 말씀 가운데서도 나타나는데, 예수께서는 십자가구속의 때를 여인의 해산에 비유하시면서 십자가라는큰 고통이 부활과 성령 강림이라는 기쁨을 해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한다(요16:21).

해석/-하다 interpretation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대부분 꿈의 해석과 연관되어 나온다(창40-41장;단2-5장). 고대 중동지역에서는 꿈 해석, 즉 해몽에 관한 지침서까지 있었고, 일정한 훈련 과정을 거쳐서 해몽가가 되기도 했으나 이스라엘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성경에서 해몽을 베푼 이스라엘 사람으로 언급되는 인물은 오직 요셉과 다니엘 뿐인데, 성경은 그들이 자기의 지혜로는 꿈을 풀 수 없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창40:8;단2:70이하). 그들에게 해석을 계시해 주시는 분은 하나님이셨다. 한편 욥기 33:23에 나오는 '해석자'는 중보자에 대한 사상이 담긴 말이다. 본문에서는 이'해석자' 가 수행하는 일을 '사람이 응당 해야 할 바가무엇인지를 각인에게 밝히 일러주시는 일'과 '연약하고 죄된 인생을 위해 대속물이 되시는 일' (23-24절)로꼽고 있다. 신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설명하다' 라는의미로 사용되었다(막4:34;히5:11).

해안 sea coast

바닷가, 바다에서 가까운 곳을 의미하는 말이다. 예수의말씀을 듣고자 몰려온 사람들의 출신지를 밝히고 있는 구절에서(눅6:17)와 로마를 향해 나아가는 바울의항해 여정을 묘사한 본문(행27:4,7,39-40) 등에서 언급되었다. 바울 등이 파선한 '경사진 해안' 지역은 오늘날에는 '성 바울 만' 이라고 불리우고 있는데, 아직도바다의 침식작용으로 모래가 무너져 내리고 있다고 알려진다.

 

해양 depths

크고 넓은 바다를 뜻한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으로 말미암아 만물이질서가 잡히고 유지된다는 사실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문맥 가운데에 쓰여져 있다(잠3:20, 공동·새번역'깊은 물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