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행습 / 행실 / 행악(자)(하다) / 행위 / 행음(자)(하다)

행습 deed

몸에 밴 버릇, 또는 습성을 뜻한다. '습'으로 번역된 원어상의 단어는 '일또는 행위' 를 의미하는 명사로서, 개역성경에서는 선지자 이사야가 이스라엘 백성들의 구체적인 죄악상을열거하고 있는 문맥 가운데 언급되어 있다(사59:6).

행실 

<보라> 행위

행악/-자/-하다 evildoing/the wicked

모지고 나쁜짓을 행함, 또는 나쁜 짓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언급된 이 단어는 원어상으로는 빈번히도덕적 관점의 양극으로서의 '선'과 대조적으로 제시되는 말로서,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받아들일 수 없는상태나 행동, 즉 하나님의 뜻에 배치되는 행위를 가리키거나 다른 사람들에 대한 비윤리적이거나 비도덕적인 행위를 가리킨다. 원어상의 이 단어가 쓰여진 구절들에 의하면 이러한 행위 속에는 우상숭배(왕상14:9),성소 파괴(시74:3), 신체적인 고통(민16:14), 학대(출5:22-23), 부정직(신15:9), 부도덕한 성관계(삿19:23), 원수와 대적(시27:2), 죽이려는 시도(삼상25:34) 등이 포함된다. 행악은 하나님을 거부함으로써 시작된다(사1:4. 참고. 사9:17;렘7:26. 잠언 2:14에서는 사람이 행악하기를 기뻐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이 단어를 인간의 내적인 태도를 기술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시편기자는 하나님께 그를 경멸한 자를 벌해 달라고 여러번 간구한다(시94:16. 또한 어떻게 하면 행악하지 않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조언하고 있다(시37:8, 참고. 24:19-20).
신약성경에서 '행악' 또는 '행악자'로 번역되어 있는 원어는 '악을 행하거나 조성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좀더 적극적이면서도 공격적으로 직접 '악을 만드는 행위'를 의미한다(눅13:27; 요18:30,빌3:2). 신약성경에서는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달린 두 강도를 가리키는 말로 이 단어를 사용하였다(눅23:32-33,39).

 

행위 doing

실제로 드러난 행동을 뜻한다. 성경에서 언급된이 단어는 원어상으로는 여러 가지 개념을 포함하고있는 말이나, 윤리적이거나 종교적인 영역에서 특별히 더 중요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 이단어는 많은 문맥에서 의로운 자의 길, 또는 사악한 자의 길을 따르는 사람들의 행위와 행동을 가리키는데,이 말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하지만(잠11:20:16:7)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창6:12:욥22:3;시37:14;잠1:31;렘17:10;겔7:4;호9:8), 사사기2:19에서 사용된 '행위' 는 돼지가 씻었다가 더러운 구덩이에 다시 눕는 것과 다름없는(참고, 벧후2:22) 우둔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반복적인 범죄의 모습을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다. 또한 주를 격노케 하는 행위(시106:29), 여호와를 거스르는 행위(사3:8), 불선한 행위(겔36:31) 등으로 언급되어 있는 이 단어는 그 사람의행위가 사악하다는 개념을 지닌 말로서, '여호와의 도를 지켜 행하는 길’ (참고. 창18:19;잠22:6)과 대조를 이루는 말이다(시28:4;렘23:22;호9:15;슥1:46. 이 단어가쓰여진 구절들은 사람이 각각 그 행위 또는 행실에 따라서 보응을 받는다는 사실을 강하게 보여준다(욥34:11;19:16;24:12;21:14;5:4).
신약성경에서 인간이 행한 모든 소위(所爲) 또는 공적에 대하여서는 이 단어가 가장 많이 쓰여져 있는데,그중 대부분은 일상적인 행위보다는 율법을 준수하는일(롬3:20,28;9:32;갈2:16;3:2), 또는 신앙과 관련된 행동(마5:16; 엡2:9;딤후1:9;딛1:16;벧전1:17;계2:2,19)에 대해말한다. 또한 '행위' 또는 '행실'은 그리스도인의 모든 행동과 태도를 포함하는 생활 방식을 의미하는 말로도 자주 사용되어 있다(딤전4:12). 이러한 의미는 특히 성도들에게 그들의 이름에 걸맞게 거룩하고, 영예롭고, 순결한 행동을 보이라고 권면하는 베드로의 말가운데서 자주 발견되어진다(벧전1:15;2:12;벧후3:11).그의 말에 따르면 아내들은 자신들의 경건한 행위를통하여 불신 남편에게 복음을 받아들이도록 할 수 있다(벧전3:1-2).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망령되거나(벧전1:18), 음란한(벧후2:7) 비그리스도인의 생활 방식과는다른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말과 행위로써 자신이 믿는 말씀을 의미있게 증거할 수 있다(히13:7). 한편 이단어는 행동이나 행동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지만 행위들이 아닌 내적인 성품을 의미하기도 한다(롬8:13). 그리스도인은 이미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옛 성품을버렸다(골3:9).

행음/-자 /-하다 prostitution/whoremonger

부정한 남녀 관계를 행하는 것, 즉 '간음' 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이 단어는 기본적으로 이성간에 불륜의 성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며, 몇몇 경우에서는 결혼한 사람이 배우자 이외의 어떤 사람과 성적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도 나타나 있다. 이단어는 문자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지만(창38:24;레21:9;삿19:2;호2:5;3:3), 비유적으로 더 자주 언급되었다. 비유적으로 사용되었을 때의 이 단어는 거짓 신들을 숭배한 이스라엘의 종교적 간음을 가리킨다(렘2:20;3:1,9;5:7;호1:2;4:13-15;9:1). 이 단어는 민족적 간음(겔16:26-28)을 묘사하는 데도 사용된다. 한편, 구약성경에서는 거짓 선지자들, 종교지도자들의 부패를 '행음' 이란 단어로 표현하고 있다. 출애굽기 22:19에서의이 단어는 짐승과 함께 음탕한 행동을 하려고 눕는 것을 의미하거니와,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행음자들은사형에 처하라고 규정하셨다.
신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버가모 교회와 두아디라교회 성도들의 우상숭배와 이방신의 제물을 먹는 것에 대해서 쓰여졌다(계2:14,20). 요한계시록에는 '행음자'가 사망과 영벌에 참여케 될 사람으로(계21:8), 새예루살렘 성에 들어가지 못할 사람으로(22:15)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