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비쉬넴 아사르 호데쉬 후 호데쉬 아다르 비쉘로솨 아사르 욤 보 아쉘 힉기아 데발 말레케 웨다토 레헤아소트 바욤 아쉘 십베루 오예베 하예후딤 리쉘로트 바헴 웨나하포크 후 아쉘 이쉘레투 하예후딤 헴마 베소네에헴
개역개정*,1 아달월 곧 열두째 달 십삼일은 왕의 어명을 시행하게 된 날이라 유다인의 대적들이 그들을 제거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제거하게 된 그 날에
새번역,1 열두째 달인 아달월 십삼일, 드디어 왕이 내린 명령과 조서대로 시행하는 날이 되었다. 이 날은, 본래 유다 사람의 원수들이 유다 사람을 없애려고 한 날인데, 오히려 유다 사람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없애는 날로 바뀌었다.
우리말성경,1 열두째 달, 곧 아달 월 13일로 왕의 칙령이 시행되는 날이었습니다. 그날 유다 사람의 원수들이 유다 사람들을 없애려고 했지만, 상황이 뒤바뀌어 유다 사람들이 오히려 자기들을 미워하는 사람들을 없애게 됐습니다.
가톨릭성경,1 임금의 분부와 그의 어명을 집행하도록 되어 있던 열두째 달인 아다르 달 열사흗날, 유다인의 원수들이 그들을 제압하리라 기대하던 그날에, 도리어 유다인들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제압하게 되었다.
영어niv,1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twelfth month, the month of Adar, the edict commanded by the king was to be carried out. On this day the enemies of the Jews had hoped to overpower them, but now the tables were turned and the Jews got the upper hand over those who hated them.
영어nasb,1 Now in the twelfth month (that is, the month Adar), on the thirteenth day when the king's command and edict were about to be executed, on the day when the enemies of the Jews hoped to gain the mastery over them, it was turned to the contrary so that the Jews themselves gained the mastery over those who hated them.
영어msg,1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twelfth month, the month of Adar, the king's order came into effect. This was the very day that the enemies of the Jews had planned to overpower them, but the tables were now turned: the Jews overpowered those who hated them!
영어nrsv,1 Now in the twelfth month, which is the month of Adar, on the thirteenth day, when the king's command and edict were about to be executed, on the very day when the enemies of the Jews hoped to gain power over them, but which had been changed to a day when the Jews would gain power over their foes,
라틴어vulgate,1 igitur duodecimi mensis quem adar vocari ante iam diximus tertiadecima die quando cunctis Iudaeis interfectio parabatur et hostes eorum inhiabant sanguini versa vice Iudaei superiores esse coeperunt et se de adversariis vindicare
히브리어구약bhs,1 וּבִשְׁנֵים עָשָׂר חֹדֶשׁ הוּא־חֹדֶשׁ אֲדָר בִּשְׁלֹושָׁה עָשָׂר יֹום בֹּו אֲשֶׁר הִגִּיעַ דְּבַר־הַמֶּלֶךְ וְדָתֹו לְהֵעָשֹׂות בַּיֹּום אֲשֶׁר שִׂבְּרוּ אֹיְבֵי הַיְּהוּדִים לִשְׁלֹוט בָּהֶם וְנַהֲפֹוךְ הוּא אֲשֶׁר יִשְׁלְטוּ הַיְּהוּדִים הֵמָּה בְּשֹׂנְאֵיהֶם׃
성 경: [에9:1]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유다인의 강성]
아달월 곧 십 이 월 십 삼 일 - 이 날은 (1) 하만이 내린 조서에 따르면 유대인을 대량 학살하기로 결정된 날이었으며(3:13), (2) 모르드개가 내린 조서에 따르면 유대인들이 자신들을 학살하려고 하는 대적들에게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결정된 날이었다(8:11, 12). 따라서 이날에는 유대인들과 그 대적들간의 살상 행위가 필연적으로 있을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아달월은 바벨론식의 달(月) 이름으로서 종교력으로는 제12월, 민간력으로는 제6월, 그리고 태양력으로는 2-3월에 해당되는 때이다.
왕의 조명을 행하게된 날이라 - 여기에서의 '왕의 조명'은 오직 모르드개에 의해 작성된 것만을 가리키는 듯하다. 왜냐하면 조명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다트'(*)는 '왕의 칙령'. '법령'등을 의미하는데 본 구절에서는 이 용어가 단수로 쓰여졌기 때문이다. 사실 하만에 의해 반포된 조서는 페르시아의 관례상 어쩔 수 없이 취소되지 못했을 뿐(8:8), 왕이 그 조서의 효력을 제거하기 위한 조서 모르드개에 의해서 반포케 했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 사장(死藏)된 것이나 진배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을 극도로 혐오하는 자들은 하만이 내린 조서를 근거로 유대인들에 대한 적대행위를 감행할 것이 뻔했다.
유다인의 대적이 저희를 제어하기를 바랐더니 - 하만과 그 추종자들이 왕을 유혹하여 유대인들을 집단 학살하려고 음모를 꾸몄던 사실(3:7)을 가리킨다. 물론 음모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사람의 숫자는 적었다. 하지만 그 음모가 조서로 구체화되어(3:13, 14) 반포됐을 때, 하만의 뜻을 좇아 유대인들을 대량학살하는 데 참여할 뜻을 가졌던 자들은 심히 많았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여기서 '제어하기를'(*, 리쉬로트)은 '통치하다' 혹은 '지배하다', '권력을 갖다', '군림하다'란 뜻을 갖는 동사 '솰라트'(*)의 부정사형으로서, 치명적인 상처를 입힐 만큼 해롭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전8:9;단3:27;6:8). 그래서 혹자는 이를 '움켜서 쥔다' 라고 해석하고 있다(Rawlinson).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를 미워하는 자를 제어하게 된 - 모르드개에 의해 반포된 조서에 따라서 유대인들이 자신들을 학살하려는 자들을 오히려 죽일 수 있게 된 상황을 가리킨다. 그런데 '미워하는 자'는 '혐오감을 갖다' 혹은 '악의를 품다'. '증오하다'등의 뜻을 갖는 동사 '사네'(*)의 분사로 이와같은 감정적인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리어'(*, 나하포크)는 '변하다' 혹은 '뒤집다', '전복하다', '반대로 돌다'등의 뜻이 있는 동사 '하파크'(*)의 수동형 부정사로서 상황이 반전된 상태를 가리킨다(Keil, Lange Commentary).
니크할루 하예후딤 베아레헴 베콜 메디노트 함메렠 오하쉬웨로쉬 리쉴로아흐 야드 비므바크쉐 라아탐 웨이쉬 로 아마드 리페네헴 키 나팔 파흐담 알 콜 하암밈
개역개정*,2 유다인들이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 각 읍에 모여 자기들을 해하고자 한 자를 죽이려 하니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여 능히 막을 자가 없고
새번역,2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의 각 성읍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성읍별로 모여서, 자기들을 해치려고 한 자들을 공격하였다.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였으므로, 아무도 막을 수 없었다.
우리말성경,2 아하수에로 왕의 모든 통치 구역에서 유다 사람들이 성안에 모였습니다. 자기들의 멸망을 바라던 사람들을 치기 위함이었습니다. 아무도 유다 사람들에게 대항해 설 수 없었는데 다른 모든 민족들이 유다 사람들을 두려워했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2 유다인들은 자기들에게 해를 입히려고 꾀하는 자들을 해치우기 위하여, 크세르크세스 임금에게 속하는 모든 주에서 각기 도시별로 모였다. 모든 민족들이 유다인들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아무도 그들에게 맞서지 못하였다.
영어niv,2 The Jews assembled in their cities in all the provinces of King Xerxes to attack those seeking their destruction. No one could stand against them, because the people of all the other nationalities were afraid of them.
영어nasb,2 The Jews assembled in their cities throughout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to lay hands on those who sought their harm; and no one could stand before them, for the dread of them had fallen on all the peoples.
영어msg,2 The Jews had gathered in the cities throughout King Xerxes' provinces to lay hands on those who were seeking their ruin. Not one man was able to stand up against them--fear made cowards of them all.
영어nrsv,2 the Jews gathered in their cities throughout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to lay hands on those who had sought their ruin; and no one could withstand them, because the fear of them had fallen upon all peoples.
라틴어vulgate,2 congregatique sunt per singulas civitates oppida et loca ut extenderent manum contra inimicos et persecutores suos nullusque ausus est resistere eo quod omnes populos magnitudinis eorum formido penetrarat
히브리어구약bhs,2 נִקְהֲלוּ הַיְּהוּדִים בְּעָרֵיהֶם בְּכָל־מְדִינֹות הַמֶּלֶךְ אֳחַשְׁוֵרֹושׁ לִשְׁלֹחַ יָד בִּמְבַקְשֵׁי רָעָתָם וְאִישׁ לֹא־עָמַד לִפְנֵיהֶם כִּי־נָפַל פַּחְדָּם עַל־כָּל־הָעַמִּים׃
성 경: [에9:2]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유다인의 강성]
유다인들이...각 도, 각 읍에 모여 - 유다인들의 이 같은 행동은 왕의 조서 첫조항에 따른 것이었다(8:11). 그런데 본 문구는 당시 제국내의 유대인들 전체가 한 곳에 모두 모인 것은 결코 아님을 분명히 하고 있다. 왜냐하면 개역 성경의 각 도, 각 읍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아르'(*)가 본 구절에서 복수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것은 유대 백성들이 살던 모든 도시에 유대인들이 모였었음을 가리킨다(Keil).
자기를 해하고자 하는 자를 죽이려 하니 - 여기서 '해하고자 하는 자'(*, 비므비크쉐이 라아탐)는 문자적으로 '자신들의 멸망을 추구하는 자'의 뜻이다. 그리고 '죽이려하니'(*, 리쉴로아흐 야드)는 '손을 뻗다'는 뜻으로 죽이는 모습을 묘사한 단어이다. 그런데 이 두 단어로 된 어구는 본서의 2:21에서는 '모살하려'로, 3:6에서는 '멸하고자'로 각각 번역되어 그 의미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한편, 본 문구는 유대인들이 결코 선제 공격을 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유대인들은 사신들에게 공격을 해오는 자들 만을 자신들의 대적으로 보고 그들만을 죽였던 것이다.
모든 민족이 저희를 두려워 하여... 막을 자가 없고 - 문자적으로는 '막을 자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의 두려움이 그 모든 백성들 위에 떨어졌기 때문이다'의 뜻이다. 그런데 모든 민족들에게 임한 이 두려움도 8:17의 경우처럼,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보호하시려는 섭리임이 분명하다.
웨콜 사레 함메디노트 웨하아하쉬다르페님 웨핲파호트 웨오세 함메라카 아쉘 람메렠 메낫세임 엩 하예후딤 키 나팔 파하드 모르도카이 알레헴
개역개정*,3 각 지방 모든 지방관과 대신들과 총독들과 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이 모르드개를 두려워하므로 다 유다인을 도우니
새번역,3 각 지방의 대신들과 제후들과 총독들과 왕의 행정관리들은, 모르드개가 무서워서도 유다 사람들을 도왔다.
우리말성경,3 모든 지방의 귀족들과 대신들과 총독들과 왕의 관리들이 유다 사람들을 도와주었습니다. 모르드개가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3 각 주의 대신들과 총독들과 지방관들은 물론 임금의 행정관들이 모르도카이를 두려워한 까닭에 모두 유다인들을 지지하였다.
영어niv,3 And all the nobles of the provinces, the satraps, the governors and the king's administrators helped the Jews, because fear of Mordecai had seized them.
영어nasb,3 Even all the princes of the provinces, the satraps, the governors, and those who were doing the king's business assisted the Jews, because the dread of Mordecai had fallen on them.
영어msg,3 What's more,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satraps, governors--everyone who worked for the king--actually helped the Jews because of Mordecai; they were afraid of him.
영어nrsv,3 All the officials of the provinces, the satraps and the governors, and the royal officials were supporting the Jews, because the fear of Mordecai had fallen upon them.
라틴어vulgate,3 nam et provinciarum iudices duces et procuratores omnisque dignitas quae singulis locis et operibus praeerat extollebant Iudaeos timore Mardochei
히브리어구약bhs,3 וְכָל־שָׂרֵי הַמְּדִינֹות וְהָאֲחַשְׁדַּרְפְּנִים וְהַפַּחֹות וְעֹשֵׂי הַמְּלָאכָה אֲשֶׁר לַמֶּלֶךְ מְנַשְּׂאִים אֶת־הַיְּהוּדִים כִּי־נָפַל פַּחַד־מָרְדֳּכַי עֲלֵיהֶם׃
성 경: [에9:3]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유다인의 강성]
본절은 대세의 흐름에 편승하는 데 민감한 관리들이 유대인들 편에 서기로 재빨리 결정했음을 말해준다. 원래 그들은 하만의 조서에 따라서, 유대인들을 죽이려는 자들을 돕는 입장에 서야만 했다. 그런데 하만의 조서가 취소되지 않은 채, 모르드개에 의해 조서가 내려졌기 때문에 그들은 온전한 중립적 입장에 서 있어야 했다(8:9). 그러나 그들은 절대적 권력을 장악한 신층 세력인 모르드개에게 잘 보이기 위하여, 유대인들을 지지하는 입장이 되었다.
관원(* 사르) - 왕의 신하를 가리키는 광의(廣義)의 단어이다(3:12). 이는1:3에서는 '방백'으로 번역되었다.
대신 - 3:12 주석을 참조하라.
방백(*, 페하) - 3:12 주석을 참조하라.
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 - 3:9의 '왕의 일을 맡은 자'와 동일하다. 보다 자세한 것은 그곳의 해석을 보라.
다 유다인을 도우니 - 여기서 '도우니'(*, 메나스임)는 '올리다' 혹은 '세우다' '일으키다' 등의 뜻을 갖는 동사 '나사'(*)의 분사로서, 지속적으로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을 가리킨다(Rawlinson). 그러나 이것은 관리들이 노골적으로 유대인들을 돕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지지하는 것을 가리키는 듯하다. 왜냐하면 만일 관리들이 노골적으로 유대인들을 돕는다면 왕의 첫 번째 조명(3:12 - 14)를 범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키 가돌 모르도카이 베베트 함메렠 웨사므오 호레크 베콜 함메디노트 키 하이쉬 모르도카이 호레크 웨가돌
개역개정*,4 모르드개가 왕궁에서 존귀하여 점점 창대하매 이 사람 모르드개의 명성이 각 지방에 퍼지더라
새번역,4 당시 모르드개는, 왕궁에서 실권을 잡고 있었고, 그의 세력은 날로 더하여 갔으며, 그의 명성은 전국 방방곡곡에 퍼졌다.
우리말성경,4 모르드개는 왕궁의 주요 인사였고 그의 명성은 온 지방에 자자해졌으며 그의 힘은 점점 더 막강해졌습니다.
가톨릭성경,4 이는 모르도카이가 왕실에서 막강해지고 그의 명성이 모든 주에 퍼져 나갔기 때문이다. 사실 모르도카이라는 사람은 점점 더 막강해져 갔다.
영어niv,4 Mordecai was prominent in the palace; his reputation spread throughout the provinces, and he became more and more powerful.
영어nasb,4 Indeed, Mordecai was great in the king's house, and his fame spread throughout all the provinces; for the man Mordecai became greater and greater.
영어msg,4 Mordecai by now was a power in the palace. As Mordecai became more and more powerful, his reputation had grown in all the provinces.
영어nrsv,4 For Mordecai was powerful in the king's house, and his fame spread throughout all the provinces as the man Mordecai grew more and more powerful.
라틴어vulgate,4 quem principem esse palatii et plurimum posse cognoverant fama quoque nominis eius crescebat cotidie et per cunctorum ora volitabat
히브리어구약bhs,4 כִּי־גָדֹול מָרְדֳּכַי בְּבֵית הַמֶּלֶךְ וְשָׁמְעֹו הֹולֵךְ בְּכָל־הַמְּדִינֹות כִּי־הָאִישׁ מָרְדֳּכַי הֹולֵךְ וְגָדֹול׃ ף
성 경: [에9:4]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유다인의 강성]
한글 개역 성경에는 안 나타나 있지만, 히브리 원문에는 '왜냐하면'을 뜻하는 접속사 '키'(*)가 본절 초두에 놓여 본절이 3절의 이유임을 말해준다.
모르드개가 왕궁에서 존귀하여 - 그의 지위와 명예 그리고 권세가 아울러 높아진 것을 가리킨다(8:2, 15 ;10:3).
점점 창대하매 - 여기의 '창대하매'(*, 가돌)는 앞의 '존귀하여'와 동일한 단어이다.
와야쿠 하예후딤 베콜 오예베헴 맠카트 헤렙 웨헤레그 웨아브단 와야아수 베소네에헴 키르초남
개역개정*,5 유다인이 칼로 그 모든 대적들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고 자기를 미워하는 자에게 마음대로 행하고
새번역,5 유다 사람들은 그들의 원수를 다 칼로 쳐 죽여 없앴으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에게, 하고 싶은 대로 다 하였다.
우리말성경,5 유다 사람들은 칼로 모든 원수들을 쓰러뜨려 학살하고 멸망시켜 버렸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을 미워하는 사람들에게 마음껏 갚아 주었습니다.
가톨릭성경,5 그래서 유다인들은 자기네 원수들을 모두 칼로 내리치고 죽이고 절멸시켰으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마음대로 처리하였다.
영어niv,5 The Jews struck down all their enemies with the sword, killing and destroying them, and they did what they pleased to those who hated them.
영어nasb,5 Thus the Jews struck all their enemies with the sword, killing and destroying; and they did what they pleased to those who hated them.
영어msg,5 So the Jews finished off all their enemies with the sword, slaughtering them right and left, and did as they pleased to those who hated them.
영어nrsv,5 So the Jews struck down all their enemies with the sword, slaughtering, and destroying them, and did as they pleased to those who hated them.
라틴어vulgate,5 itaque percusserunt Iudaei inimicos suos plaga magna et occiderunt eos reddentes eis quod sibi paraverant facere
히브리어구약bhs,5 וַיַּכּוּ הַיְּהוּדִים בְּכָל־אֹיְבֵיהֶם מַכַּת־חֶרֶב וְהֶרֶג וְאַבְדָן וַיַּעֲשׂוּ בְשֹׂנְאֵיהֶם כִּרְצֹונָם׃
성 경: [에9:5]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유다인이 칼로 그 모든 대적을 쳐서 - 유대인들이 이같이 할 수 있었던 데는 관리들이 자신들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가졌던 것(3절)이 큰 힘이 됐을 것이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8:11-13에 언급된 조서의 내용과 같이 대적들을 진멸했을 것이다. 한편, '대적'은 유대인들에 대한 혐오감을 무력을 통해 나타내려고 했던 자들이다(8:11).
도륙하고 진멸하고 - 3:13 주석을 참조하라.
미워하는 자에게 마음대로 행하고 - 이것은 본절 앞의 문구 '그 모든 대적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고'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된다. 본서의 저자는 이 같은 동의적(同意的)대구법의 표현 방식을 빌어서 유대인들의 대적들에 대한 진멸 행위가 완벽하게 이루어졌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우베슈솬 합비라 하레구 하예후딤 웨압베드 하메쉬 메오트 이쉬
개역개정*,6 유다인이 또 도성 수산에서 오백 명을 죽이고 진멸하고
새번역,6 유다 사람들은 도성 수산에서만도 그런 자들을 오백 명이나 처형하였다.
우리말성경,6 수산 왕궁에서 유다 사람들이 죽인 사람은 500명이었습니다.
가톨릭성경,6 유다인들은 수사 왕성에서 오백 명을 죽여 없앴다.
영어niv,6 In the citadel of Susa, the Jews killed and destroyed five hundred men.
영어nasb,6 And in Susa the capital the Jews killed and destroyed five hundred men,
영어msg,6 In the palace complex of Susa the Jews massacred five hundred men.
영어nrsv,6 In the citadel of Susa the Jews killed and destroyed five hundred people.
라틴어vulgate,6 in tantum ut etiam in Susis quingentos viros interficerent et decem extra filios Aman Agagitae hostis Iudaeorum quorum ista sunt nomina
히브리어구약bhs,6 וּבְשׁוּשַׁן הַבִּירָה הָרְגוּ הַיְּהוּדִים וְאַבֵּד חֲמֵשׁ מֵאֹות אִישׁ׃
성 경: [에9:6]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유다인이...수산에서 오백 인을 죽이고 - 본절에서부터는 5절에 언급된 유대인들의 진멸행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한글 개역성경은 5절을 유대인들의 진멸 행위의 전체적 개요로 보지 않고 하나의 구체적 모습으로 본다. 그래서 본절을 번역하면서 원문에도 없는 '또'라는 단어를 삽입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문구의 '도성 수산'은, '수산'시(市)의 서쪽 언덕 위에 인공적으로 만들어긴 요새 지역으로서 왕궁 이외의 다른 거주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그래서 아마도 이곳은 인구가 조밀했을 것으로 추측된다(Rawlinson).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도성 수산'과 '수산'은 다르다. 하지만 유대인들이 '도성 수산'에서 오백 명을 죽이면서 하만의 열 아들도 함께 죽였는데(7-10절), 그 아들들의 시체가 '수산'에서 달렸다는 언급(14절)을 볼 때, 본장에서의 '도성 수산'은 '수산'과 별 구별없이 사용된 듯하다. 한편, '죽이고'(*, 하라그)는 8:11에서 '도륙하고'로 번역된 단어이다(3:13 주석 참조).
멸하고(*, 아바드) - 8:11에서 '진멸하고'로 번역되었는데 이를 참조하라(3:13).
웨엩 파르솨느다타 웨엩 달폰 웨엩 아스파타
개역개정*,7 또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새번역,7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우리말성경,7 또 그들이 죽인 사람은 바산다다, 달본, 아스바다,
가톨릭성경,7 또한 파르산다타와 달폰과 아스파타,
영어niv,7 They also killed Parshandatha, Dalphon, Aspatha,
영어nasb,7 and Parshandatha, Dalphon, Aspatha,
영어msg,7 They also killed the ten sons of Haman son of Hammedatha, the archenemy of the Jews: Parshandatha, Dalphon, Aspatha
영어nrsv,7 They killed Parshandatha, Dalphon, Aspatha,
라틴어vulgate,7 Pharsandatha et Delphon et Esphata
히브리어구약bhs,7 וְאֵת פַּרְשַׁנְדָּתָא וְאֵת דַּלְפֹון וְאֵת אַסְפָּתָא׃
성 경: [에9:7, 8, 9]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여기서는 유대인들에 의해 도성 수산에서 살해된 하만의 열 아들의 이름이 나열되고 있다.
바산다다 - '기도로 인해 주어진'의 뜻을 갖는 페르시아어 '프라스나-다타'(Frasna-data)의 히브리어 음역인 듯하다(Oppert).
달본 - '거만한', '오만한'이란 뜻이 있는 페르시아어 '다르폰'(Darphon)의 히브리어 음역이다.
아스바다 - '말을 선물로 받은'이란 뜻을 갖는 페르시아어 '아스파나타'의 히브리어 음역이다(Oppert, Rawlinson).
보라다 - '많은 병거를 가진'이란 의미의 페르시아어 '파루-라타'(Parurath)의 히브리어 음역이다(Rawlinson).
아달리야 - '용감한'의 뜻을 갖고 있는 페르시아어 '아달랴'(Adalya)의 히브리어 음역이다(Oppert).
아리다다 - '관대한'을 뜻하는 '아리다타'(Aridata)의 히브리어 음역이다(Rawlinson).
바마스다 - '가장 위대한'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파라메쉬타'(Parameshta)의 히브리어 음역이다(Benary).
아리새 - '정복하기'란 의미를 갖고 있는 페르시아어 '아리사야'(Arisaya)의 히브리어 음역이다(Rawlinson).
아리대 - '주기'(to give)를 뜻하는 페르시아어의 히브리어 음역이다(Rawlinson).
왜사다 - '바람처럼 강한'이란 의미의 페르시아어 '와유-자다'(Vayu-zatha)의 히브리어 음역이다(Rawlinson). 한편, 이들의 이름이 이렇게 한꺼번에 계속적으로 나열되어서 언급된 것은 그들이 모두 한 순간에 죽은 것을 나타내려는 이유에서 일 것이다.
웨엩 포라타 웨엩 아달르야 웨엩 아리다타
개역개정*,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새번역,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우리말성경,8 보라다, 아달리야, 아리다다,
가톨릭성경,8 포라타와 아달야와 아리다타,
영어niv,8 Poratha, Adalia, Aridatha,
영어nasb,8 Poratha, Adalia, Aridatha,
영어msg,8 Poratha, Adalia, Aridatha
영어nrsv,8 Poratha, Adalia, Aridatha,
라틴어vulgate,8 et Phorata et Adalia et Aridatha
히브리어구약bhs,8 וְאֵת פֹּורָתָא וְאֵת אֲדַלְיָא וְאֵת אֲרִידָתָא׃
웨엩 파르마쉐타 웨엩 아리사이 웨엩 아리다이 웨엩 와예자타
개역개정*,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새번역,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와
우리말성경,9 바마스다, 아리새, 아리대, 왜사다였는데
가톨릭성경,9 파르마스타와 아리사이와 아리다이와 와이자타,
영어niv,9 Parmashta, Arisai, Aridai and Vaizatha,
영어nasb,9 Parmashta, Arisai, Aridai, and Vaizatha,
영어msg,9 Parmashta, Arisai, Aridai, Vaizatha
영어nrsv,9 Parmashta, Arisai, Aridai, Vaizatha,
라틴어vulgate,9 et Ephermesta et Arisai et Aridai et Vaizatha
히브리어구약bhs,9 וְאֵת פַּרְמַשְׁתָּא וְאֵת אֲרִיסַי וְאֵת אֲרִדַי וְאֵת וַיְזָתָא׃
아세레트 베네이 하만 벤 함메다타 초레르 하예후딤 하라구 우바비자 로 솰레후 엩 야담
개역개정*,10 곧 함므다다의 손자요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새번역,10 유다 사람의 원수요 함므다다의 아들인 하만의 열 아들도 죽였다. 유다 사람들은 그들을 죽이기는 하였지만, 그들의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
우리말성경,10 그들은 함므다다의 아들인 유다 사람의 원수 하만의 열 아들들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물건에는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가톨릭성경,10 곧 함므다타의 아들, 유다인들의 적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다. 그러나 재물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영어niv,10 he ten sons of Haman son of Hammedatha, the enemy of the Jews. But they did not lay their hands on the plunder.
영어nasb,10 the ten sons of Haman the son of Hammedatha, the Jews' enemy; but they did not lay their hands on the plunder.
영어msg,10 But they took no plunder.
영어nrsv,10 the ten sons of Haman son of Hammedatha, the enemy of the Jews; but they did not touch the plunder.
라틴어vulgate,10 quos cum occidissent praedas de substantiis eorum agere noluerunt
히브리어구약bhs,10 עֲשֶׂרֶת בְּנֵי הָמָן בֶּן־הַמְּדָתָא צֹרֵר הַיְּהוּדִים הָרָגוּ וּבַבִּזָּה לֹא שָׁלְחוּ אֶת־יָדָם׃
성 경: [에9:10]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그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 사실 왕의 조서에 따른다면, 유대인들은 대적의 생명과 재산을 아울러 빼앗을 수도 있었다(8:11). 그러나 당시 유대인들은 이같이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음으로써, 대적들에 대한 자신들의 공격 행위가 결코 더러운 이익을 탐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확연히 증명해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대적들에 대한 자신들의 행위가 대적들을 멸하는 그 자체에만 의의가 있음을 천명하고 있다. 한편, 이렇게 함으로써 하만의 아들들의 재산은, 주인을 잃은 재산 일체는 왕에게 귀속됐던 고대법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아하수에로 왕의 것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이러한 유대인들의 태도는 약500년 전에 사울이 아말렉을 물리치고 난후 탐심에 빠져 전리품을 취함으로 하나님의 진노를 샀던 사건(삼상 15:17-23)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바욤 하후 바 미스팔 하하루김 베슈솬 합비라 리페네 함메렠
개역개정*,11 그 날에 도성 수산에서 도륙한 자의 수효를 왕께 아뢰니
새번역,11 도성 수산에서 죽은 사람의 수는 그 날로 왕에게 보고되었다.
우리말성경,11 수산 성에서 죽임당한 사람들의 숫자가 바로 그날 왕에게 보고됐습니다.
가톨릭성경,11 수사 왕성에서 살해된 자들의 수가 그날로 임금에게 보고되자,
영어niv,11 The number of those slain in the citadel of Susa was reported to the king that same day.
영어nasb,11 On that day the number of those who were killed in Susa the capital was reported to the king.
영어msg,11 That day, when it was all over, the number of those killed in the palace complex was given to the king.
영어nrsv,11 That very day the number of those killed in the citadel of Susa was reported to the king.
라틴어vulgate,11 statimque numerus eorum qui occisi erant in Susis ad regem relatus est
히브리어구약bhs,11 בַּיֹּום הַהוּא בָּא מִסְפַּר הַהֲרוּגִים בְּשׁוּשַׁן הַבִּירָה לִפְנֵי הַמֶּלֶךְ׃ ס
성 경: [에9:11]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국가의 중요한 일은 항상 '실록(6:1)에 기록되어야 했으므로 유대인들에 의해 살해된 자의 숫자가 왕께 보고된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왕은 그러한 관례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사신의 조서가 어떻게 실행되었는지 그 결과 보고를 받을 필요성이 있었을 것이다.
와요멜 함메렠 레에스텔 함말카 베슈솬 합비라 하레구 하예후딤 웨압베드 하메쉬 메오트 이쉬 웨엩 아세레트 베네이 하만 비쉬아르 메디노트 함메렠 메 아수 우마 쉐엘라테크 웨인나텐 라크 우마 밬카솨테크 오드 웨테아스
개역개정*,12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유다인이 도성 수산에서 이미 오백 명을 죽이고 멸하고 또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니 왕의 다른 지방에서는 어떠하였겠느냐 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 또한 시행하겠노라 하니
새번역,12 왕이 에스더 왕후에게 말하였다. "유다 사람들은 도성 수산에서만도 그들의 원수를 오백 명이나 죽였고, 하만의 열 아들도 다 죽였소. 그러니 나머지 다른 지방에서야 오죽하였겠소? 이제 당신의 남은 소청이 무엇이오? 내가 그대로 들어주리다. 당신의 요구가 또 무엇이오? 당신이 바라는 대로 하여 주겠소."
우리말성경,12 왕이 에스더 왕비에게 말했습니다. “유다 사람들이 수산 왕궁에서 500명과 하만의 아들 열 명을 죽여 없앴다니 왕의 나머지 통치 구역에서는 어떻겠소? 이제 당신의 소원이 무엇이오? 내가 들어주겠소. 당신이 무엇을 부탁하겠소? 그것 또한 해 주겠소.”
가톨릭성경,12 임금이 에스테르 왕비에게 말하였다. "유다인들은 수사 왕성에서만도 오백 명과 하만의 열 아들을 죽여 없앴소. 그러니 임금의 나머지 속주들에서는 어떠했겠소? 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오? 그대에게 이루어질 것이오. 그대의 또 다른 소원이 무엇이오? 그대에게 채워질 것이오."
영어niv,12 The king said to Queen Esther, "The Jews have killed and destroyed five hundred men and the ten sons of Haman in the citadel of Susa. What have they done in the rest of the king's provinces? Now what is your petition? It will be given you. What is your request? It will also be granted."
영어nasb,12 And the king said to Queen Esther, "The Jews have killed and destroyed five hundred men and the ten sons of Haman in Susa the capital. What then have they done in the rest of the king's provinces! Now what is your petition? It shall even be granted you. And what is your further request? It shall also be done."
영어msg,12 The king told Queen Esther, "In the palace complex alone here in Susa the Jews have killed five hundred men, plus Haman's ten sons. Think of the killing that must have been done in the rest of the provinces! What else do you want? Name it and it's yours. Your wish is my command."
영어nrsv,12 The king said to Queen Esther, "In the citadel of Susa the Jews have killed five hundred people and also the ten sons of Haman. What have they done in the rest of the king's provinces? Now what is your petition? It shall be granted you. And what further is your request? It shall be fulfilled."
라틴어vulgate,12 qui dixit reginae in urbe Susis interfecere Iudaei quingentos viros et alios decem filios Aman quantam putas eos exercere caedem in universis provinciis quid ultra postulas et quid vis ut fieri iubeam
히브리어구약bhs,12 וַיֹּאמֶר הַמֶּלֶךְ לְאֶסְתֵּר הַמַּלְכָּה בְּשׁוּשַׁן הַבִּירָה הָרְגוּ הַיְּהוּדִים וְאַבֵּד חֲמֵשׁ מֵאֹות אִישׁ וְאֵת עֲשֶׂרֶת בְּנֵי־הָמָן בִּשְׁאָר מְדִינֹות הַמֶּלֶךְ מֶה עָשׂוּ וּמַה־שְּׁאֵלָתֵכְ* וְיִנָּתֵן לָךְ וּמַה־בַּקָּשָׁתֵךְ עֹוד וְתֵעָשׂ׃
성 경: [에9:12]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 '에스더'는 모르드개 혹은 그밖의 소식통에 의해서 12월 13일에 몇 명의 대적들이 유대인들에 의해서 살해 됐는지를 보고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왕은, 에스더가 모르는 것으로 간주한 채 자신이 부하들로부터 보고 받은 바를 에스더에게 말해주고 있다. 아하수에로 왕은 이같이 함으로써 자신의 에스더에 대한 사랑을 간접적으로 표시하고 싶었을 것이다.
왕의 다른 도에서는 어떠하였겠느뇨 - 수산에서 죽은 수효를 생각해 볼 때 전국적으로는 엄청난 숫자의 대적들이 살해되었을 것이라는 사실(16절)을 암시하기 위한 감탄문이다(Rawlinson).
이제 그대의 소청...요구가 무엇이뇨 - 왕은 유대인에 의해서 살해된 대적의 숫자와 함께, 그 대적들에 대한 유대인들의 기세가 대단하였다는 보고도 받았을 것이다(Schultz). 따라서 사태의 추이를 익히 알고 있었던 아하수에로 왕은 나머지 대적들을 소탕할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해서 다시 이같이 에스더에게 '소청'의 유무를 질문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왕은 에스더와 유대인들에 대해 은총을 허락하고 또 은혜를 내릴 것을 요청케 한 것이다. 그러나, 아하수에로 왕이 이처럼 유대인들에게 호의적일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간섭의 결과인 것이 틀림없다. 즉, 아하수에로 왕은 난폭할 뿐만 아니라 즉흥적이고 허영심이 많은 군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하수에로가 본절에서 처럼 반응한 것은 그의 성격과 마음을 여호와께서 움직이셨기 때문이다.
와토멜 에스텔 임 알 함메렠 토브 인나텐 감 마하르 라예후딤 아쉘 베슈솬 라아소트 케다트 하욤 웨엩 아세레트 베네이 하만 이텔루 알 하에츠
개역개정*,13 에스더가 이르되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시면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이 내일도 오늘 조서대로 행하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게 하소서 하니
새번역,13 에스더가 대답하였다. "임금님께서만 좋으시다면, 수산에 있는 유다 사람들이 내일도 오늘처럼 이 조서대로 시행하도록 하여 주십시오. 그리고 하만의 열 아들의 주검은 장대에 매달아 주십시오."
우리말성경,13 에스더가 대답했습니다. “왕께서 기뻐하신다면 수산 성의 유다 사람들이 내일도 오늘처럼 칙서대로 그렇게 할 수 있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달게 하소서.”
가톨릭성경,13 그러자 에스테르가 말하였다. "임금님께서 좋으시다면, 수사에 있는 유다인들에게 오늘 어명에 따라 행한 것처럼 내일도 실행할 수 있도록 윤허해 주시고, 하만의 열 아들을 말뚝에 매달게 해 주십시오."
영어niv,13 "If it pleases the king," Esther answered, "give the Jews in Susa permission to carry out this day's edict tomorrow also, and let Haman's ten sons be hanged on gallows."
영어nasb,13 Then said Esther, "If it pleases the king, let tomorrow also be granted to the Jews who are in Susa to do according to the edict of today; and let Haman's ten sons be hanged on the gallows."
영어msg,13 "If it please the king," Queen Esther responded, "give the Jews of Susa permission to extend the terms of the order another day. And have the bodies of Haman's ten sons hanged in public display on the gallows."
영어nrsv,13 Esther said, "If it pleases the king, let the Jews who are in Susa be allowed tomorrow also to do according to this day's edict, and let the ten sons of Haman be hanged on the gallows."
라틴어vulgate,13 cui illa respondit si regi placet detur potestas Iudaeis ut sicut hodie fecerunt in Susis sic et cras faciant et decem filii Aman in patibulis suspendantur
히브리어구약bhs,13 וַתֹּאמֶר אֶסְתֵּר אִם־עַל־הַמֶּלֶךְ טֹוב יִנָּתֵן גַּם־מָחָר לַיְּהוּדִים אֲשֶׁר בְּשׁוּשָׁן לַעֲשֹׂות כְּדָת הַיֹּום וְאֵת עֲשֶׂרֶת בְּנֵי־הָמָן יִתְלוּ עַל־הָעֵץ׃
성 경: [에9:13]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수산에 거하는 유다인으로 내일도... 행하게 하시고 - 하만의 조서(3:12, 14)나 모르드개의 조서는(8:11, 12) 모두 하루 동안만 유효하였다. 따라서 유대인들은 자신들에게 적대적 공격을 해왔던 모든 대적들을 그 하루 동안에 모두 진멸키는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오히려 남은 대적들이 세월이 어느 정도 지나 다시 세력을 규합하여 유대인들에게 큰 해를 입힐 것이 뻔하였다. 그래서 에스더는 그러한 것을 미리 예견하며 대적들의 완전한 진멸을 위해 왕에게 다시 요구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에스더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는 절대명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을 뿐, 자신의 개인적 원한을 갚으려는 의도에서 그러한 요청을 한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달게 하소서 - 유대인들이 자신의 대적들을 죽일 수는 있었지만, 그 시체를 훼손시키는 등의 일은 멋대로 할 수 없었다. 만약 그 같은 권한이 부여되었다고 하더라도, 12월 13일 하루만에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어달 시간적 여유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에스더는 이처럼 그 다음 날인 12월 14일에 그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어달 수 있게끔 아하수에로 왕에게 간청을 한 것이다. 에스더는 이처럼 하만의 아들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어 닮으로써 (1) 유대인의 대적 아각 자손(3:1)인 하만 일가가 완전히 진멸됐다는 사실을 가시화하고, (2) 유대인의 그밖의 대적 혹은 그들에게 적대적 감정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엄중한 경고(삼상31:10)를 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Paton). 한편, 이처럼 나무에 다는 것은 히브리와 페르시아에 유행했던 당시의 관습이었다(Keil & Schultz, 신21:22 ;스6:11).
와요멜 함메렠 레헤아소트 켄 왙틴나텐 다트 베슈솬 웨엩 아세레트 베네이 하만 탈루
개역개정*,14 왕이 그대로 행하기를 허락하고 조서를 수산에 내리니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매달리니라
새번역,14 왕은 그렇게 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수산에는 조서가 내렸고, 하만의 열 아들의 주검은 장대에 매달렸다.
우리말성경,14 그러자 왕은 이것을 시행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칙령이 수산 성에 공포됐습니다. 그러자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매달렸습니다.
가톨릭성경,14 임금이 그렇게 하도록 분부하자, 수사에 어명이 공포되고 하만의 열 아들은 나무에 매달렸다.
영어niv,14 So the king commanded that this be done. An edict was issued in Susa, and they hanged the ten sons of Haman.
영어nasb,14 So the king commanded that it should be done so; and an edict was issued in Susa, and Haman's ten sons were hanged.
영어msg,14 The king commanded it: The order was extended; the bodies of Haman's ten sons were publicly hanged.
영어nrsv,14 So the king commanded this to be done; a decree was issued in Susa, and the ten sons of Haman were hanged.
라틴어vulgate,14 praecepitque rex ut ita fieret statimque in Susis pependit edictum et decem Aman filii suspensi sunt
히브리어구약bhs,14 וַיֹּאמֶר הַמֶּלֶךְ לְהֵעָשֹׂות כֵּן וַתִּנָּתֵן דָּת בְּשׁוּשָׁן וְאֵת עֲשֶׂרֶת בְּנֵי־הָמָן תָּלוּ׃
성 경: [에9:14]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왕이...조서를...내리니...열 아들의 시체가 달리니라 - 여기에서 왕이 내린 조서의 내용이 혹자의 주장처럼 유대인들에게 다음날도 싸울 수 있다는 것만을 허가하는 것(C.A.Moor, Keil)은 아니다. 오히려 아하수에로는 다음날의 싸움과 하만의 아들들의 시체를 나무에 달 수 있게 한 조서를 동시에 내린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Schultz). 그런데 혹자의 추측처럼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하만이 매어 달렸던 높은 나무(7:9, 10)에 일부 달렸고, 그 나머지도 그 옆에 새로 세웠을 나무에 나란히 달렸을 것이(Paton)라는 견해는 확실한 증거가 없다. 한편, 죽은 시체를 나무에 다는 것은 그 시체에 대한 대단한 모욕일 뿐만 아니라 그와 관계한 사람에서 까지도 심한 모욕으로 간주되었다.
와이카하루 하예후디이임 하예후딤 아쉘 베슈솬 감 베욤 알바아 아사르 레호데쉬 아다르 와야할구 베슈솬 쉐로쉬 메오트 이쉬 우바비자 로 솰레후 엩 야담
개역개정*,15 아달월 십사일에도 수산에 있는 유다인이 모여 또 삼백 명을 수산에서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새번역,15 수산의 유다 사람들은 아달월 십사일에 한 곳에 모여서, 수산에서만도 삼백 명을 죽였으나, 역시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
우리말성경,15 수산 성의 유다 사람들은 아달 월 14일에도 모여 수산 성에서 300명을 죽였습니다. 그러나 물건에는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가톨릭성경,15 수사에 있는 유다인들은 아다르 달 열나흗날에도 다시 모여 수사에서 삼백 명을 죽였다. 그러나 재물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영어niv,15 The Jews in Susa came together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nd they put to death in Susa three hundred men, but they did not lay their hands on the plunder.
영어nasb,15 And the Jews who were in Susa assembled also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Adar and killed three hundred men in Susa, but they did not lay their hands on the plunder.
영어msg,15 The Jews in Susa went at it again. On the fourteenth day of Adar they killed another three hundred men in Susa. But again they took no plunder.
영어nrsv,15 The Jews who were in Susa gathered also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nd they killed three hundred persons in Susa; but they did not touch the plunder.
라틴어vulgate,15 congregatis Iudaeis quartadecima adar mensis die interfecti sunt in Susis trecenti viri nec eorum ab illis direpta substantia est
히브리어구약bhs,15 וַיִּקָּהֲלוּ [כ= הַיְּהוּדִיִּים] [ק= הַיְּהוּדִים] אֲשֶׁר־בְּשׁוּשָׁן גַּם בְּיֹום אַרְבָּעָה עָשָׂר לְחֹדֶשׁ אֲדָר וַיַּהַרְגוּ בְשׁוּשָׁן שְׁלֹשׁ מֵאֹות אִישׁ וּבַבִּזָּה לֹא שָׁלְחוּ אֶת־יָדָם׃
성 경: [에9:15]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본절에 나타난 유대인들의 행위는 왕이 내린 새로운 조서(14절)에 따른 합법적인 것이었다.
또 삼백 인을 수산에서 도륙하되 - 여기의 '삼백 인'은 12월 13일에 미처죽이지 못했던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 본서 저자는 이와 같은 표현을 본절 뿐만 아니라 10절과 16절에도 기록하여 유대인들의 바른 행위와 그들의 살륙의 정당성을 강조하고있다.
우쉐아르 하예후딤 아쉘 비메디노트 함메렠 니크할루 웨아모드 알 나프솸 웨노아흐 메오예베헴 웨하로그 베소네에헴 하밋솨 웨쉬베임 알레프 우바비자 로 솰레후 엩 야담
개역개정*,16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다른 유다인들이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 칠만 오천 명을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새번역,16 그러는 동안에, 왕이 다스리는 각 지방에 있는 나머지 유다 사람들도, 지방별로 함께 모여서 조직을 정비하고, 자체 방어에 들어갔다. 그들은 원수들을 무려 칠만 오천 명이나 죽였으나, 역시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
우리말성경,16 한편 왕의 통치 구역들 안에 남아 있던 유다 사람들도 스스로 보호하고 그 원수들로부터 안녕을 얻기 위해 모였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을 미워하는 7만 5,000명을 죽였지만 물건에는 손대지 않았습니다.
가톨릭성경,16 임금의 속주에 사는 나머지 유다인들도 한데 모여서 자기들의 목숨을 지키기 위해 봉기하여, 자기네 원수들에게서 평안을 되찾았다. 그들은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 가운데에서 칠만 오천 명을 죽였다. 그러나 재물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영어niv,16 Meanwhile, the remainder of the Jews who were in the king's provinces also assembled to protect themselves and get relief from their enemies. They killed seventy-five thousand of them but did not lay their hands on the plunder.
영어nasb,16 Now the rest of the Jews who were in the king's provinces assembled, to defend their lives and rid themselves of their enemies, and kill 750000 of those who hated them; but they did not lay their hands on the plunder.
영어msg,16 Meanwhile in the rest of the king's provinces, the Jews had organized and defended themselves, freeing themselves from oppression.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they killed 75,000 of those who hated them but did not take any plunder.
영어nrsv,16 Now the other Jews who were in the king's provinces also gathered to defend their lives, and gained relief from their enemies, and killed seventy-five thousand of those who hated them; but they laid no hands on the plunder.
라틴어vulgate,16 sed et per omnes provincias quae dicioni regis subiacebant pro animabus suis stetere Iudaei interfectis hostibus ac persecutoribus suis in tantum ut septuaginta quinque milia occisorum implerentur et nullus de substantiis eorum quicquam contingeret
히브리어구약bhs,16 וּשְׁאָר הַיְּהוּדִים אֲשֶׁר בִּמְדִינֹות הַמֶּלֶךְ נִקְהֲלוּ וְעָמֹד עַל־נַפְשָׁם וְנֹוחַ מֵאֹיְבֵיהֶם וְהָרֹג בְּשֹׂנְאֵיהֶם חֲמִשָּׁה וְשִׁבְעִים אָלֶף וּבַבִּזָּה לֹא שָׁלְחוּ אֶת־יָדָם׃
성 경: [에9:16]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대적을 진멸하는 유다인]
여기서는 수산 이외의 지역 유대인이 왕의 조서를 어떻게 실행했는지를 보여준다(6절).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 8:11 주석을 참조하라.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 - 이것은 앞의 문구 '생명을 보호하여'와 동일한 의미로 봐야한다. 따라서 이것을 어느 특정한 지역으로부터의 탈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서는 안 될 것이다(22절). 그러므로 혹자의 생각처럼 '대적들을 살륙하고 그 숫자를 보고하기 위해 싸움의 장소에서 벗어났다' 라고 하는 견해(Rawlinson)는 재고될 필요가있다.
자기를 미워하는 자 칠만 오천 인을 도륙하되 - '자기를 미워하는 자'에 대해서는 1절 주석을 참조하라. 한편, 수산 이외의 지역에서 살해된 대적의 숫자 '칠만 오천 인'은 수산에서 하루 동안 살해된 숫자 500명에 비하면 조금 많은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칠십인역(LXX)과 같이 이를 일만 오천 인으로 보는 것은 타당치 않다.
베욤 쉐로솨 아사르 레호데쉬 아다르 웨노아흐 베알바아 아사르 보 웨아소 오토 욤 미쉬테 웨시므하
개역개정*,17 아달월 십삼일에 그 일을 행하였고 십사일에 쉬며 그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새번역,17 이 일이 일어난 것은 아달월 십삼일이었다. 십사일에는 쉬면서, 그 날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날로 삼았다.
우리말성경,17 이것은 아달 월 13일에 일어났고 14일에는 그들이 쉬며 그날을 잔치하며 기뻐하는 날로 삼았습니다.
가톨릭성경,17 이는 아다르 달 열사흗날에 일어난 일이다. 그들은 열나흗날에는 쉬면서 그날을 잔치와 기쁨의 날로 지냈다.
영어niv,17 This happened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nd on the fourteenth they rested and made it a day of feasting and joy.
영어nasb,17 This was done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month Adar, and on the fourteenth day they rested and made it a day of feasting and rejoicing.
영어msg,17 The next day, the fourteenth, they took it easy and celebrated with much food and laughter.
영어nrsv,17 This was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nd on the fourteenth day they rested and made that a day of feasting and gladness.
라틴어vulgate,17 dies autem tertiusdecimus mensis adar unus apud omnes interfectionis fuit et quartodecimo die caedere desierunt quem constituerunt esse sollemnem ut in eo omni deinceps tempore vacarent epulis gaudio atque conviviis
히브리어구약bhs,17 בְּיֹום־שְׁלֹשָׁה עָשָׂר לְחֹדֶשׁ אֲדָר וְנֹוחַ בְּאַרְבָּעָה עָשָׂר בֹּו וְעָשֹׂה אֹתֹו יֹום מִשְׁתֶּה וְשִׂמְחָה׃
성 경: [에9:17]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승리의 기념 잔치]
아달월 십 삼 일에 그 일을 행하였고 - 이것은 16절에 언급된 유대인들의 정당한 행위가 언제 이뤄졌는지를 분명히 말해주는 표현이다.
십 사 일에 쉬며 - 수산 지역의 유대인들은 왕의 특별한 조서에 따라 '십 사 일'에도 대적들을 물리쳤다(15절). 그러나 다른 지역의 유대인들은 '십 삼 일' 하루 동안에(8:12) 대적들을 진멸하였기 때문에, 그 다음날에는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안식을 누릴 수 있었다.
그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 8:17 주석을 참조하라.
웨하예후디임 웨하예후딤 아쉘 베슈솬 니크할루 비쉘로솨 아사르 보 우베아르바아 아사르 보 웨노아흐 바하밋솨 아사르 보 웨아소 오토 욤 미쉬테 웨시므하
개역개정*,18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였고 십오일에 쉬며 이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
새번역,18 그러나 수산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여 일을 벌였으므로, 십오일에는 쉬면서, 그 날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날로 삼았다.
우리말성경,18 그러나 수산의 유다 사람들은 13일, 14일에 모였고 15일에는 쉬며 그날을 잔치하며 기뻐하는 날로 삼았습니다.
가톨릭성경,18 수사에 있는 유다인들은 열사흗날과 열나흗날에 모였기 때문에 열닷샛날에는 쉬면서 그날을 잔치와 기쁨의 날로 지냈다.
영어niv,18 The Jews in Susa, however, had assembled o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and then on the fifteenth they rested and made it a day of feasting and joy.
영어nasb,18 But the Jews who were in Susa assembled on the thirteenth and the fourteenth of the same month, and they rested on the fifteenth day and made it a day of feasting and rejoicing.
영어msg,18 But in Susa, since the Jews had banded together on both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days, they made the fifteenth their holiday for laughing and feasting.
영어nrsv,18 But the Jews who were in Susa gathered on the thirteenth day and on the fourteenth, and rested on the fifteenth day, making that a day of feasting and gladness.
라틴어vulgate,18 at hii qui in urbe Susis caedem exercuerant tertiodecimo et quartodecimo eiusdem mensis die in caede versati sunt quintodecimo autem die percutere desierunt et idcirco eandem diem constituere sollemnem epularum atque laetitiae
히브리어구약bhs,18 [כ= וְהַיְּהוּדִיִּים] [ק= וְהַיְּהוּדִים] אֲשֶׁר־בְּשׁוּשָׁן נִקְהֲלוּ בִּשְׁלֹשָׁה עָשָׂר בֹּו וּבְאַרְבָּעָה עָשָׂר בֹּו וְנֹוחַ בַּחֲמִשָּׁה עָשָׂר בֹּו וְעָשֹׂה אֹתֹו יֹום מִשְׁתֶּה וְשִׂמְחָה׃
성 경: [에9:18]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승리의 기념 잔치]
수산...유다인은 십 삼 일과 십 사 일에 모였고 - 15절을 참조하라.
알 켄 하예후딤 하페로짐 핲페라짐 하요쉐빔 베아레 핲페라조트 오심 엩 욤 알바아 아사르 레호데쉬 아다르 시므하 우미쉬테 웨욤 토브 우미쉬로아흐 마노트 이쉬 레레에후
개역개정*,19 그러므로 시골의 유다인 곧 성이 없는 고을고을에 사는 자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삼아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더라
새번역,19 성벽이 없는 여러 마을에 사는 유다 사람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정하고, 즐겁게 잔치를 벌이면서, 서로 음식을 나누어 먹은 까닭도 바로 이것이다.
우리말성경,19 이렇게 해서 성벽이 없는 지방의 작은 마을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아달 월 14일을 즐기며 잔치를 베풀고 그날을 축일로 삼아 서로 선물을 나누었습니다.
가톨릭성경,19 성벽이 없는 마을에 사는 시골 유다인들은 아다르 달 열나흗날을 기쁨과 잔치와 경축의 날로 지내면서 음식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
영어niv,19 That is why rural Jews--those living in villages--observe the fourteenth of the month of Adar as a day of joy and feasting, a day for giving presents to each other.
영어nasb,19 Therefore the Jews of the rural areas, who live in the rural towns, make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Adar a holiday for rejoicing and feasting and sending portions of food to one another.
영어msg,19 (This accounts for why Jews living out in the country in the rural villages remember the fourteenth day of Adar for celebration, their day for parties and the exchange of gifts.)
영어nrsv,19 Therefore the Jews of the villages, who live in the open towns, hold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s a day for gladness and feasting, a holiday on which they send gifts of food to one another.
라틴어vulgate,19 hii vero Iudaei qui in oppidis non muratis ac villis morabantur quartumdecimum diem mensis adar conviviorum et gaudii decreverunt ita ut exultent in eo et mittant sibi mutuo partes epularum et ciborum
히브리어구약bhs,19 עַל־כֵּן הַיְּהוּדִים [כ= הַפְּרֹוזִים] [ק= הַפְּרָזִים] הַיֹּשְׁבִים בְּעָרֵי הַפְּרָזֹות עֹשִׂים אֵת יֹום אַרְבָּעָה עָשָׂר לְחֹדֶשׁ אֲדָר שִׂמְחָה וּמִשְׁתֶּה וְיֹום טֹוב וּמִשְׁלֹוחַ מָנֹות אִישׁ לְרֵעֵהוּ׃ ף
성 경: [에9:19]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승리의 기념 잔치]
본절은 16, 17절의 결과로서 수산 이외의 지역 유대인들이 12월 14일을 경축일로 지키게 되었던 사실을 말해준다.
그러므로(*, 알 켄) - 여기서 '알'(*)은 '~위에'라는 뜻이다. 그리고 '켄'(*)은 '이것' 혹은 '이같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둘이 합쳐져서는 각자의 의미가 되살아나기 보다는 오히려 앞에 언급된 내용의 결론을 유도하는 접속사가 된다(창2:24 ;느6:6). 따라서 여기의 '그러므로'는 본절이 16, 17절의 결론에 해당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용어는 대체로 어떤 습관의 유래에 대해 설명할 때 사용된다(Schultz).
촌촌의 유다인 곧 성이 없는 고을 고을에 거하는 자들 - 여기서 '촌촌의'(*, 페라우짐)는 '고을 고을'(*, 페라조트)을 가리키는 단어로서, 요새화되어 있지 않고 탁 트인 마을 혹은 도시를 가리킨다. 따라서 '촌촌'과 '고을 고을'은 곧 요새화되어 있었던 '수산'과 대조되는 수산 이외의 다른 모든 지역들을 가리킨다(Keil, Rawlinson). 이와 같은 대조에 대해서는 신3:5과 삼상 6:18을 참조하라.
아달월 십 사 일로 경절을 삼아 - 이처럼 수산 이외 지역의 유대인들이 '경절'을 '십 사 일'로 정한 것은, 그들이 그 전날에는 대적들과 싸우고 그 날에는 안식을 얻고 잔치를 베풀었었기(17절) 때문이었다. 그러나 수산에 사는 유대인들은 '십 오 일'에야 쉴 수 있었기(15, 18절) 때문에 '경절'이 다른 지역 유대인들과는 달리 '십 오일'이었다(21절). 그런데 여기의 '경절'(*, 욤 토브)은 문자적으로는 '좋은 날'이라는 뜻으로서, 그 날에 있었던 상서로운 역사적 사건을 계속 기억하기 위해 특별히 정한 기념일이었다(출 12:14). 한편, 이 날에는 모든 노동을 그치고 그 날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을 되새기며 하루를 보냈다(8:17).
서로 예물을 주더라 - 이것은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이 성탄절 등에 주로 행하는 선물 교환과 거의 흡사하다. 유대인들은 이같이 함으로써 상호 연대감을 증진시키려고 했었다(Baldwin). 한편, 이러한 당시의 관습은 오늘날에도 유대인들 사이에 계속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듯하다(Rawlinson).
와잌크톱 모르도카이 엩 하데바림 하엘레 와이쉐라흐 세파림 엘 콜 하예후딤 아쉘 베콜 메디노트 함메렠 아하쉐웨로쉬 핰케로빔 웨하르호킴
개역개정*,20 모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 원근을 막론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새번역,20 모르드개는 이 모든 사건을 다 기록하여 두었다. 그는 또, 멀든지 가깝든지,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에 사는 유다 사람들에게 글을 보내서,
우리말성경,20 모르드개는 이 모든 일들을 기록해 원근각처 아하수에로 왕의 통치 구역 전역의 모든 유다 사람들에게 편지로 보내서
가톨릭성경,20 모르도카이는 이 일을 기록하고, 임금의 모든 속주에 사는 유다인들에게 가까이 있든 멀리 있든 서신을 보내어,
영어niv,20 Mordecai recorded these events, and he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throughout the provinces of King Xerxes, near and far,
영어nasb,20 Then Mordecai recorded these events, and he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who were in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both near and far,
영어msg,20 Mordecai wrote all this down and sent copies to all the Jews in all King Xerxes' provinces, regardless of distance,
영어nrsv,20 Mordecai recorded these things, and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who were in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both near and far,
라틴어vulgate,20 scripsit itaque Mardocheus omnia haec et litteris conprehensa misit ad Iudaeos qui in omnibus regis provinciis morabantur tam in vicino positis quam procul
히브리어구약bhs,20 וַיִּכְתֹּב מָרְדֳּכַי אֶת־הַדְּבָרִים הָאֵלֶּה וַיִּשְׁלַח סְפָרִים אֶל־כָּל־הַיְּהוּדִים אֲשֶׁר בְּכָל־מְדִינֹות הַמֶּלֶךְ אֲחַשְׁוֵרֹושׁ הַקְּרֹובִים וְהָרְחֹוקִים׃
성 경: [에9:20]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모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 모르드개가 기록한 '이 일'은 (1) 유대인들이 왕이 내린 조서에 따라서 대적들을 진멸한 일(5, 15, 16절), (2) 유대인들이 대적들을 진멸한 후 그 다음날을 '경절'로 삼아 쉬면서 잔치 등을 베푼 일(17-19절)을 아울러 가리킬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유대인들이 직면했던 위협과 파멸의 위험에서 보존된 사실을 가리키는 것이다(Schultz). 그러나 본 문구는 모르드개가 본서를 기록했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모르드개는 다만 유대인들에게 편지를 보내기 위하여 그간의 사건 개요를 기록했을 뿐이기 때문이다.
모든 유다인에게...글을 보내어 - 21, 22절에 언급된 내용의 서신을 말한다.
레카옘 알레헴 리흐요트 오심 엩 욤 알바아 아사르 레호데쉬 아다르 웨엩 욤 하밋솨 아사르 보 베콜 솨나 웨솨나
개역개정*,21 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지키라
새번역,21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명절로 지키도록 지시하였다.
우리말성경,21 그들이 아달 월 14일, 15일을 해마다 절기로 지키게 했습니다.
가톨릭성경,21 그들이 해마다 아다르 달 열나흗날과 열닷샛날을 축일로 지내도록 확정하였다.
영어niv,21 to have them celebrate annually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days of the month of Adar
영어nasb,21 obliging them to celebrate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Adar, and the fifteenth day of the same month, annually,
영어msg,21 calling for an annual celebration o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days of Adar
영어nrsv,21 enjoining them that they should keep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Adar and also the fifteenth day of the same month, year by year,
라틴어vulgate,21 ut quartamdecimam et quintamdecimam diem mensis adar pro festis susciperent et revertente semper anno sollemni honore celebrarent
히브리어구약bhs,21 לְקַיֵּם עֲלֵיהֶם לִהְיֹות עֹשִׂים אֵת יֹום אַרְבָּעָה עָשָׂר לְחֹדֶשׁ אֲדָר וְאֵת יֹום־חֲמִשָּׁה עָשָׂר בֹּו בְּכָל־שָׁנָה וְשָׁנָה׃
성 경: [에9:21]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한 규례를 세워 - 이는 부림절이 정례적인 공식적 절기로 지켜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여기의 '한 규례를 세워'(*, 키옘)는 '~위에'를 뜻하는 전치사 '알'(*)과 함께 사용되어, 어떠한 일을 특정한 어떤 사람이 필연적으로 행하도록 의무를 부과시키는 것을 가리킨다(Schultz, 룻 4:7 ;시 119:106). 그러므로 이는 어느 날을 잡아서 기리고 경축할 것을 정한다는 의미를 강하게 나타낸다.
해마다 아달월 십 사 일과 십 오 일을 지키라 - 수산의 유대인들이 '아달월 십 사일'을 자신들의 경절로 삼은 전례(18절), 그밖의 지역 유대인들이 '아달월 십 사 일'을 경절로 삼은 전례(19절)를 모두 존중하여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이다.
카야밈 아쉘 나후 바헴 하예후딤 메오예베헴 웨하호데쉬 아쉘 네흐파크 라헴 미야곤 레시메하 우메에벨 레욤 토브 라아소트 오탐 예메 미쉬테 웨시므하 우미쉬로아흐 마노트 이쉬 레레에후 우맡타노트 라에브요님
개역개정*,22 이 달 이 날에 유다인들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
새번역,22 그 날에 유다 사람이 원수들의 손에서 벗어났으며, 그 날에 유다 사람의 슬픔이 기쁨으로 바뀌었고, 초상날이 잔칫날로 바뀌었으므로, 모르드개는 그 이틀 동안을, 잔치를 벌이면서 기뻐하는 명절로 정하고, 서로 음식을 나누어 먹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는 날로 지키도록 지시하였다.
우리말성경,22 유다 사람들이 그 원수들에게서 안녕을 찾은 날로, 그들의 슬픔이 바뀌어 기쁨이 되고 그 신음이 바뀌어 축제의 달이 됐기 때문입니다. 그는 그날을 잔치하며 기뻐하는 날로 지키고 서로 음식을 나누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라고 써 보냈습니다.
가톨릭성경,22 이날은 유다인들이 원수들에게서 평안을 되찾은 날이고, 이 달에 근심이 기쁨으로, 애도가 경축의 날로 바뀌었으니, 이날을 잔치와 기쁨의 날로 지내면서 서로 음식을 나누고 가난한 이들에게 선물을 하라고 지시하였다.
영어niv,22 as the time when the Jews got relief from their enemies, and as the month when their sorrow was turned into joy and their mourning into a day of celebration. He wrote them to observe the days as days of feasting and joy and giving presents of food to one another and gifts to the poor.
영어nasb,22 because on those days the Jews rid themselves of their enemies, and it was a month which was turned for them from sorrow into gladness and from mourning into a holiday; that they should make them days of feasting and rejoicing and sending portions of food to one another and gifts to the poor.
영어msg,22 as the occasion when Jews got relief from their enemies, the month in which their sorrow turned to joy, mourning somersaulted into a holiday for parties and fun and laughter,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presents and of giving gifts to the poor.
영어nrsv,22 as the days on which the Jews gained relief from their enemies, and as the month that had been turned for them from sorrow into gladness and from mourning into a holiday; that they should make them days of feasting and gladness, days for sending gifts of food to one another and presents to the poor.
라틴어vulgate,22 quia in ipsis diebus se ulti sunt Iudaei de inimicis suis et luctus atque tristitia in hilaritatem gaudiumque conversa sint essentque istae dies epularum atque laetitiae et mitterent sibi invicem ciborum partes et pauperibus munuscula largirentur
히브리어구약bhs,22 כַּיָּמִים אֲשֶׁר־נָחוּ בָהֶם הַיְּהוּדִים מֵאֹויְבֵיהֶם וְהַחֹדֶשׁ אֲשֶׁר נֶהְפַּךְ לָהֶם מִיָּגֹון לְשִׂמְחָה וּמֵאֵבֶל לְיֹום טֹוב לַעֲשֹׂות אֹותָם יְמֵי מִשְׁתֶּה וְשִׂמְחָה וּמִשְׁלֹוחַ מָנֹות אִישׁ לְרֵעֵהוּ וּמַתָּנֹות לָאֶבְיֹונִים׃
성 경: [에9:22]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유다인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 여기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누아흐)는 '쉬다' 혹은 '안식하다', '조용하다'란 뜻이 있는 동사이다. 본절의 이러한 표현은 유다 백성들이 대적들의 위협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조용히 지내게 되었음을 나타내고있다. 한편, 이 동사로부터 16절에 언급된 '벗어나며'나 17, 18절에서 '쉬며'로 번역된 '노아흐'(*)가 파생되었다.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 여기서 '슬픔'(창 42:28 ;시 13:2 ;겔23:33)은 유대인을 대량 학살하라는 왕의 조서가 내려졌을 때 온 유다 백성들이 느꼈던 감정이었다(4:1, 3). 한편, 그들의 '기쁨'은 대적들을 모두 무찌른 후 잔치를 통해서 발산되었다(17-19절).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 여기서 '애통'(*, 에벧)이라는 명사는, '비탄', '애도'라는 의미로 자신의 멸망을 예견했던 하만의 심정을 표현한 형용사 '아벨'(*)과 동족의 단어이다(6:12). 또한 이 명사는 하만에 의해 내려진 조서로 공포에 사로잡혔던 유대인의 마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4:3). 이와같이 이 용어의 사용에는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주도의 슬픔의 감정을 나타내려는 본서 저자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길한 날'(*, 욤 토브)은 19절의 '경절'과 동일하다. 그런데 여기서 '길한'(good)이라는 말에는 '좋은', '선한', '아름다운', '기쁜'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어 악이 바뀌어 선이 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두 날 - 21절을 참조하라.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 19절을 참조하라.
서로 예물을 주며 - 19절 주석을 참조하라.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 이것은 모세 율법이 명령하고 있는 절기를 지키는 구체적 방법 중의 하나이다(신 16:14 ;느 8:10). 유대인들은 절기를 이같은 방법으로 지킴으로써. 자신들에게 베풀어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보답 감사하였다.
웨킵벨 하예후딤 엩 아쉘 하헬루 라아소트 웨엩 아쉘 카탑 모르도카이 알레헴
개역개정*,23 유다인이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새번역,23 그래서 유다 사람들은, 모르드개가 그들에게 글로 써서 지시한 대로, 자기들이 시작한 그 명절을 해마다 지켰다.
우리말성경,23 그리하여 유다 사람들은 모르드개가 그들에게 지시한 내용대로 그 절기를 계속 지켰습니다.
가톨릭성경,23 그리하여 유다인들은 자기들이 이미 실행하기도 하고 모르도카이가 써 보내기도 한 바를 풍속으로 받아들였다.
영어niv,23 So the Jews agreed to continue the celebration they had begun, doing what Mordecai had written to them.
영어nasb,23 Thus the Jews undertook what they had started to do, and what Mordecai had written to them.
영어msg,23 And they did it. What started then became a tradition, continuing the practice of what Mordecai had written to them.
영어nrsv,23 So the Jews adopted as a custom what they had begun to do, as Mordecai had written to them.
라틴어vulgate,23 susceperuntque Iudaei in sollemnem ritum cuncta quae eo tempore facere coeperant et quae Mardocheus litteris facienda mandaverat
히브리어구약bhs,23 וְקִבֵּל הַיְּהוּדִים אֵת אֲשֶׁר־הֵחֵלּוּ לַעֲשֹׂות וְאֵת אֲשֶׁר־כָּתַב מָרְדֳּכַי אֲלֵיהֶם׃
성 경: [에9:23]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자기들의...시작한 대로 또는 모르드개의 보낸 글대로 - '모르드개'는 유대인들이 대적들을 물리친 그 다음 날에 시행했던 행사를 근거로 해서 부림절 절기를 제정하기 위한 글을 유대인들에게 보냈었다(20, 21절). 따라서 여기에 표현된 '자기들의-시작한 대로'라는 말은 '모르드개의 보낸 글대로'와 동일하다.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키발). 원어는 '응낙하다', '착수하다', '받아들이다', '취하다' 란 의미의 동사 '카발'(*)의 강조형(피엘형)으로서, '기쁨으로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을 가리킨다(스8:7 ;욥 2:10 ;잠 19:20).
키 하만 벤 함메다타 하아가기 초레르 콜 하예후딤 하솹 알 하예후딤 레압베담 웨힢필 풀 후 하고랄 레훔맘 우레압베담
개역개정*,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새번역,24 유다 사람의 원수 아각의 자손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은, 유다 사람들을 죽여 없애려고, 주사위의 일종인 부르를 던져서, 유다 사람들을 다 없앨 날을 받았으나,
우리말성경,24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인 모든 유다 사람의 원수 하만이 유다 사람들을 멸망시킬 일을 꾸미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았지만
가톨릭성경,24 아각 사람 함므다타의 아들, 모든 유다인들의 적 하만이 유다인들을 절멸시키려는 음모를 꾸며, 그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절멸시키려 푸르 곧 주사위를 던졌었다.
영어niv,24 For Haman son of Hammedatha, the Agagite, the enemy of all the Jews, had plotted against the Jews to destroy them and had cast the pur (that is, the lot) for their ruin and destruction.
영어nasb,24 For Haman the son of Hammedatha, the Agagite, the adversary of all the Jews, had schemed against the Jews to destroy them, and had cast Pur, that is the lot, to disturb them and destroy them.
영어msg,24 Haman son of Hammedatha, the Agagite, the archenemy of all Jews, had schemed to destroy all Jews. He had cast the pur (the lot) to throw them into a panic and destroy them.
영어nrsv,24 Haman son of Hammedatha the Agagite, the enemy of all the Jews, had plotted against the Jews to destroy them, and had cast Pur--that is "the lot"--to crush and destroy them;
라틴어vulgate,24 Aman enim filius Amadathi stirpis Agag hostis et adversarius Iudaeorum cogitavit contra eos malum ut occideret illos atque deleret et misit phur quod nostra lingua vertitur in sortem
히브리어구약bhs,24 כִּי הָמָן בֶּן־הַמְּדָתָא הָאֲגָגִי צֹרֵר כָּל־הַיְּהוּדִים חָשַׁב עַל־הַיְּהוּדִים לְאַבְּדָם וְהִפִּיל פּוּר הוּא הַגֹּורָל לְהֻםָּם וּלְאַבְּדָם׃
성 경: [에9:24]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본절부터 26절까지는 22절처럼 부림절이 제정되기까지의 배경을 언급하고 있다.
아각 사람 - 3:1 주석을 참조하라.
모든 유다인의 대적 - 3:10 주석을 참조하라.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 3:6을 참조하라.
부르 곧 제비를 뽑아 - 3:7을 참조하라.
저희를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 여기서 '죽이고'(*, 레후맘)는 '패배케하다' 혹은 '부수다'의 뜻을 가진 동사 '하맘(*)의 부정사로서, 큰 능력을 동원하여 상대를 멸절시키는 것을 가리킨다(신2:15 ;수10:10 ;삿4:15 ;삼상7:10).한편, 이 용어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적을 칠 때 나타나는 대패배를 가려킬 때도 사용되었다(출 14:24 ;신 2:15, Keil, Schultz).
우베보아흐 리페네 함메렠 아마르 임 핫세펠 야슈브 마하솹토 하라아 아쉘 하솹 알 하예후딤 알 로쇼 웨탈루 오토 웨엩 바나우 알 하에츠
개역개정*,25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새번역,25 에스더가 그 음모를 왕 앞에 말하니, 왕은 하만이 유다 사람을 해치려고 꾸민 악한 흉계가 하만 자신에게 돌아가도록 하고, 하만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아들까지도 장대에 매달도록, 글로 써서 조서를 내렸다.
우리말성경,25 왕비가 왕 앞에 나가 하만의 음모를 밝히자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 사람들을 두고 꾸민 그 악한 계획이 그 머리 위에 돌아가 그와 그 아들들이 나무에 매달리게 됐습니다.
가톨릭성경,25 그런데 이 일이 임금에게 보고되자, 임금은 서면으로, 하만이 유다인들을 없애려고 꾸민 그 악한 음모가 그 자신에게 되씌워지고 그와 그의 아들들을 말뚝에 매달도록 분부하였던 것이다.
영어niv,25 But when the plot came to the king's attention, he issued written orders that the evil scheme Haman had devised against the Jews should come back onto his own head, and that he and his sons should be hanged on the gallows.
영어nasb,25 But when it came to the king's attention, he commanded by letter that his wicked scheme which he had devised against the Jews, should return on his own head, and that he and his sons should be hanged on the gallows.
영어msg,25 But when Queen Esther intervened with the king, he gave written orders that the evil scheme that Haman had worked out should boomerang back on his own head. He and his sons were hanged on the gallows.
영어nrsv,25 but when Esther came before the king, he gave orders in writing that the wicked plot that he had devised against the Jews should come upon his own head, and that he and his sons should be hanged on the gallows.
라틴어vulgate,25 et postea ingressa est Hester ad regem obsecrans ut conatus eius litteris regis irriti fierent et malum quod contra Iudaeos cogitaverat reverteretur in caput eius denique et ipsum et filios eius adfixerunt cruci
히브리어구약bhs,25 וּבְבֹאָהּ לִפְנֵי הַמֶּלֶךְ אָמַר עִם־הַסֵּפֶר יָשׁוּב מַחֲשַׁבְתֹּו הָרָעָה אֲשֶׁר־חָשַׁב עַל־הַיְּהוּדִים עַל־רֹאשֹׁו וְתָלוּ אֹתֹו וְאֶת־בָּנָיו עַל־הָעֵץ׃
성 경: [에9:25]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에스더가 왕의 앞에 나아감을 인하여 - 원어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그 문제가 왕의 앞에 나아갔을 때'라는 뜻이다. 여기에 대한 자세한 것은 5-7장을 살펴보라.
왕이 조서를 내려 - 왕이 하만의 형벌과 관련한 '조서'를 내렸다는 사실이 본서에는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총리대신을 처형하는 문제는 너무나도 중대한 문제였기 때문에 왕은 구두 명령 이외에 그것을 문서화한 별도의 명령을 신하들에게 하달했을것이다.
알 켄 카레우 라야밈 하엘레 푸림 알 쉠 핲푸르 알 켄 알 콜 디브레 하이게레트 하조트 우마 라우 알 카카 우마 힉기아 알레헴
개역개정*,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따라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새번역,26 그래서 주사위의 일종인 부르라는 말을 따라, 이 두 날을 불러서 부림이라고 하였다. 이 모든 사건은, 유다 사람 스스로가 직접 보고 겪은 것이며, 모르드개의 글에도 적혀 있는 것이다.
우리말성경,26 그러므로 ‘부르’라는 말을 따서 이날을 부림절이라고 부르게 됐습니다. 이 편지에 적힌 모든 것과 그들이 그 일에 관해 본 것과 그들에게 알려진 일 때문에
가톨릭성경,26 그래서 이날들을 푸르라는 말에 따라 푸림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렇게 모르도카이가 보낸 서한의 말과 자신들이 이와 관련하여 직접 보고 겪은 것 때문에,
영어niv,26 (Therefore these days were called Purim, from the word pur .) Because of everything written in this letter and because of what they had seen and what had happened to them,
영어nasb,26 Therefore they called these days Purim after the name of Pur. And because of the instructions in this letter, both what they had seen in this regard and what had happened to them,
영어msg,26 That's why these days are called "Purim," from the word pur or "lot." Therefore, because of everything written in this letter and because of all that they had been through,
영어nrsv,26 Therefore these days are called Purim, from the word Pur. Thus because of all that was written in this letter, and of what they had faced in this matter, and of what had happened to them,
라틴어vulgate,26 atque ex illo tempore dies isti appellati sunt Phurim id est Sortium eo quod phur id est sors in urnam missa fuerit et cuncta quae gesta sunt epistulae id est libri huius volumine continentur
히브리어구약bhs,26 עַל־כֵּן קָרְאוּ לַיָּמִים הָאֵלֶּה פוּרִים עַל־שֵׁם הַפּוּר עַל־כֵּן עַל־כָּל־דִּבְרֵי הָאִגֶּרֶת הַזֹּאת וּמָה־רָאוּ עַל־כָּכָה וּמָה הִגִּיעַ אֲלֵיהֶם׃
성 경: [에9:26]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한글 개역 성경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원문에는 본절 초두에 '그러므로'를 뜻하는 '알켄'(*)이라는 말이 있다(19절). 따라서 본절부터 28절까지는 앞 부분의결과에 해당된다(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19절의 주석을 참조하라). 그 중 본절은 어떻게 해서 '부림절'이라는 절기 명칭이 정해지게 되었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좇아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 '부르'(*, 푸르)는 '제비'를 뜻하는 페르시아어이다(3:7). 그런데 본절에는 이 용어가 복수 형태로 쓰여져 있어, 부림 절기로 지켜지는 날이 '두 날'이었기에 그렇게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게 된다.
이 글의 모든 말 - 모르드개가 부림절 제정과 관련하여 유대인들에게 보낸 서신의 내용 전부를 가리킨다(20절).
이 일에 보고 당한 것 - '그들이 보았고 그들에게 일어난 일'로 번역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그런데 이것은 곧 24, 25절의 내용인 바, 그들이 경험한 것이 모르드개의 글의 내용과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Schultz).
키예무 웨킵벨 웨킵베루 하예후딤 알레헴 웨알 자르암 웨알 콜 한니르윔 알레헴 웨로 야아보르 리흐요트 오심 엩 쉬네 하야밈 하엘레 키크타밤 웨키즈만남 베콜 솨나 웨솨나
개역개정*,27 뜻을 정하고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이 두 날을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새번역,27 그래서 그들은 이 두 날을, 그들과 자손과 그들에게 귀화하는 모든 사람이, 해마다 정해진 때에, 글에 적혀 있는 대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명절로 삼았다.
우리말성경,27 유다 사람들은 자신들과 그 후손과 그들에게 붙은 모든 사람들을 위해 이 두 날을 기록된 대로 해마다 그때에 틀림없이 지키도록 했습니다.
가톨릭성경,27 유다인들은 자신들과 후손들 그리고 그들에게 귀화한 모든 이들에게, 해마다 이 두 날을 쓰여진 대로 그리고 정해진 때에 따라 축일로 지내도록, 거스를 수 없는 규정으로 확정 짓고 풍속으로 받아들였다.
영어niv,27 the Jews took it upon themselves to establish the custom that they and their descendants and all who join them should without fail observe these two days every year, in the way prescribed and at the time appointed.
영어nasb,27 the Jews established and made a custom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descendants, and for all those who allied themselves with them, so that they should not fail to celebrate these two days according to their regulation, and according to their appointed time annually.
영어msg,27 the Jews agreed to continue. It became a tradition for them, their children, and all future converts to remember these two days every year on the specified dates set down in the letter.
영어nrsv,27 the Jews established and accepted as a custom for themselves and their descendants and all who joined them, that without fail they would continue to observe these two days every year, as it was written and at the time appointed.
라틴어vulgate,27 quaeque sustinuerint et quae deinceps inmutata sint suscepere Iudaei super se et semen suum et super cunctos qui religioni eorum voluerint copulari ut nulli liceat duos hos dies absque sollemnitate transigere quam scriptura testatur et certa expetunt tempora annis sibi iugiter succedentibus
히브리어구약bhs,27 קִיְּמוּ [כ= וְקִבֵּל] [ק= וְקִבְּלוּ] הַיְּהוּדִים עֲלֵיהֶם וְעַל־זַרְעָם וְעַל כָּל־הַנִּלְוִים עֲלֵיהֶם וְלֹא יַעֲבֹור לִהְיֹות עֹשִׂים אֵת שְׁנֵי הַיָּמִים הָאֵלֶּה כִּכְתָבָם וְכִזְמַנָּם בְּכָל־שָׁנָה וְשָׁנָה׃
성 경: [에9:27]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뜻을 정하고(*, 키예무) - 21절의 '한 규례를 세워'와 동일한 동사이다.그러나 21절의 '한 규례를 세워'라는 표현은 부정사(不定詞)임에 반하여, 본 단어는 일반적 형태로서 부림절을 제정하기로 한 사람들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자기와 자손과 자기와 화합한 자들 - 여기서 '자기와 자손'은 부림절이 그 당대 뿐만 아니라 후대에도 계속 지켜지리라는 것을 암시한다. 한편, '화합한 자들'(*, 닐윔)은 '합하다' 혹은 '함께하다'의 뜻을 갖는 동사 '라와'(*)의 수동 분사로서 이방 종교를 포기하고 여호와의 종교를 받아들여 이스라엘에 속한 사람(사14:1 ;56:3 ;슥 2:11). 즉 이방인 개종자들 모두를 가리킨다(Keil, Rawlinson, Schultz).
그 기록한 정기(定期) - 모르드개가 결정한 12월 14, 15일(20, 21절)을 말한다.
이 두날을 연하여 - 이것은 유대인들이 혹시 한 날만을 부림절로 지키지 않을까 하는 염려에 따라 언급된 말인 듯하다. 왜냐하면 수산에 사는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최초에 그랬던 것처럼(18절). 12월 15일 하루만을 절기로 지킬 가능성이 있었고, 그의 지역의 유대인들은 12월 14일 하루만을 절기로 지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19절). 이 두 날 모두를 절기로 지켜야 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21절 주석을 참조하라.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 여기서 '폐하지 아니하기로'는 페르시아의 법이 절대로 변개될 수 없었던(1:19) 사실을 염두에 두고 부림절 절기의 지킴에 대해서도 매우 강하게 강조한 듯하다. 사실 선지자도 제사장도 아닌 모르드개가 제정한 부림절은 언뜻 생각하면, 결코 신적인 권위라고는 전혀 없는 절기처럼 느껴질 수 있었다. 따라서 부림절이 제정되게 된 과정을 목격치 못한, 즉 체험치 못한 그 후손들은 그 부림절 절기를 지키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컸었다. 그래서 이처럼 부림 절기의 지킴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본절에 나타난 '작정하고'는 23절의 '계속하여 행하였으니'와 동일한 어근과 의미의 단어이다.
웨하야밈 하엘레 니즈카림 웨나아심 베콜 돌 와도르 미쉬파하 우미쉬파하 메디나 우메디나 웨일 와일 위메 핲푸림 하엘레 로 야아베루 밑토크 하예후딤 웨지케람 로 야수프 미자르암
개역개정*,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들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새번역,28 이 두 날은, 유다 사람이면, 어느 지방 어느 성읍에 살든지, 모든 집안마다 대대로 기억하고 지켜야 하는 날이다. 이틀 동안 계속되는 부림절은 유다 사람들로서는 거를 수 없는 명절이 되고, 자손에게도 잊어서는 안 되는 날이 되었다.
우리말성경,28 이날들을 꼭 기억해 모든 집안마다 모든 세대에서, 모든 지방과 모든 성에서 지켜야 했습니다. 유다 사람들은 이 부림절을 지키는 일이 그치지 않도록 했으며 그 후손 가운데서 그날이 잊혀지지 않도록 했습니다.
가톨릭성경,28 이날들을 모든 세대에 걸쳐 각 가문과 각 주와 각 도시에서 기념하여 지내게 되었으며, 이 푸림절은 유다인들 사이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고 그 기억은 후손들 사이에서 결코 끊이지 않게 된 것이다.
영어niv,28 These days should be remembered and observed in every generation by every family, and in every province and in every city. And these days of Purim should never cease to be celebrated by the Jews, nor should the memory of them die out among their descendants.
영어nasb,28 So these days were to be remembered and celebrated throughout every generation, every family, every province, and every city; and these days of Purim were not to fail from among the Jews, or their memory fade from their descendants.
영어msg,28 These days are to be remembered and kept by every single generation, every last family, every province and city. These days of Purim must never be neglected among the Jews; the memory of them must never die out among their descendants.
영어nrsv,28 These days should be remembered and kept throughout every generation, in every family, province, and city; and these days of Purim should never fall into disuse among the Jews, nor should the commemoration of these days cease among their descendants.
라틴어vulgate,28 isti sunt dies quos nulla umquam delebit oblivio et per singulas generationes cunctae in toto orbe provinciae celebrabunt nec est ulla civitas in qua dies Phurim id est Sortium non observentur a Iudaeis et ab eorum progenie quae his caerimoniis obligata est
히브리어구약bhs,28 וְהַיָּמִים הָאֵלֶּה נִזְכָּרִים וְנַעֲשִׂים בְּכָל־דֹּור וָדֹור מִשְׁפָּחָה וּמִשְׁפָּחָה מְדִינָה וּמְדִינָה וְעִיר וָעִיר וִימֵי הַפּוּרִים הָאֵלֶּה לֹא יַעַבְרוּ מִתֹּוךְ הַיְּהוּדִים וְזִכְרָם לֹא־יָסוּף מִזַּרְעָם׃ ס
성 경: [에9:28]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본절은 내용상 27절의 반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반복을 통하여 본서의 저자는 부림절이 반드시 지켜져야 했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는 듯하다.
각 도, 각 읍, 각 집에서 - 이것은 모든 지역, 모든 공동체, 온 가족이 부림절을 예외없이 지켜야 할 필요성을 암시한다.
대대로 - 부림절이 후대에도 계속 지켜져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강조를 반영이라도 하듯 히브리인들은 오늘날까지 이 부림 절기를 지키고 있다.
폐하지 않게 하고(*, 로아바르) - 문자적으로는 '지나쳐 버리지 않도록'이다. 27절의 '폐하지 아니하기로'와 동일한 의미의 어휘이다.
왙티크톱 에스텔 함말카 바트 아비하일 우모르도카이 하예후디 엩 콜 토케프 레카엠 엩 익게레트 핲푸림 하조트 핫쉐니트
개역개정*,29 아비하일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가 전권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이 둘째 편지를 굳게 지키게 하되
새번역,29 아비하일의 딸 에스더 왕후는, 유다 사람 모르드개와 함께, 전권을 가지고 두 번째로 편지를 써서, 부림절을 확정하였다.
우리말성경,29 이렇게 아비하일의 딸 에스더 왕비는 유다 사람 모르드개와 함께 전권을 가지고 이 부림절에 관해 두 번째 편지로 확증했습니다.
가톨릭성경,29 아비하일의 딸 에스테르 왕비와 유다인 모르도카이는 이 두 번째 푸림에 관한 서한의 내용을 의무로 확정 짓고자 모든 권한을 다하여 글을 써서,
영어niv,29 So Queen Esther, daughter of Abihail, along with Mordecai the Jew, wrote with full authority to confirm this second letter concerning Purim.
영어nasb,29 Then Queen Esther, daughter of Abihail, with Mordecai the Jew, wrote with full authority to confirm this second letter about Purim.
영어msg,29 Queen Esther, the daughter of Abihail, backed Mordecai the Jew, using her full queenly authority in this second Purim letter
영어nrsv,29 Queen Esther daughter of Abihail, along with the Jew Mordecai, gave full written authority, confirming this second letter about Purim.
라틴어vulgate,29 scripseruntque Hester regina filia Abiahil et Mardocheus Iudaeus etiam secundam epistulam ut omni studio dies ista sollemnis sanciretur in posterum
히브리어구약bhs,29 וַתִּכְתֹּב אֶסְתֵּר הַמַּלְכָּה בַת־אֲבִיחַיִל וּמָרְדֳּכַי הַיְּהוּדִי אֶת־כָּל־תֹּקֶף לְקַיֵּם אֵת אִגֶּרֶת הַפּוּרִים הַזֹּאת הַשֵּׁנִית׃
성 경: [에9:29]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에스더와...모르드개...글을 쓰고 - 본문구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모르드개가 쓴 서신 이외에(20절) 또 다른 서신이 유대인들에게 보내졌음을 알 수 있다. 즉, 그것은 다음에 나오는 '둘째 편지'이다. 그런데 여기서 '글을 쓰고'(*, 티크토브)는 여성 3인칭 단수이다. 주어가 에스더와 모르드개 두 사람이어서 3인칭 복수 동사가 사용되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여성 3인칭 단수 동사가 사용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즉, 여기의 글을 쓰는 일, 다시말하여 편지를 쓰는 일이 '에스더'의주도 아래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이다. 그런데 이 글은 아마도 첫째의 서신을 보낸(20절) 때로부터 몇 개월이 지난 후, 즉 공식적으로 제정된 부림절이 최초로 돌아오기 얼마 전쯤에 보내졌을 것이다.
전권(全權)으로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어근은 '이기다', '압도하다'에서 유래한 '토케프'(*)로 '권위', '권력', '힘'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자적인 의미보다도 '진정으로', 또는 '감동적으로'란 해석이 더 어울리는 듯하다(Rawlinson). 한편, 이 용어는 구약에서 본절 외에 10:2와 단 11:7에도 사용되었다.
굳이 지키게 하되 - 21절의 '한 규례를 세워서'와 동일한 어휘, 같은 의미의 말이다.
와이쉐라흐 세파림 엘 콜 하예후딤 엘 쉐바 웨에세림 우메아 메디나 말쿠트 아하쉐웨로쉬 디브레 솰롬 웨에멭
개역개정*,30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백이십칠 지방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새번역,30 위로와 격려의 말이 담긴 그 편지는, 아하수에로 왕국 백스물일곱 지방에 사는 모든 유다 사람들에게 발송되었다.
우리말성경,30 모르드개는 평화와 진실한 말이 담긴 편지들을 아하수에로 왕국의 127개 지방에 있는 모든 유다 사람들에게 보내
가톨릭성경,30 그 서신들을 크세르크세스 왕국의 백이십칠 개 주에 있는 모든 유다인들에게 평화와 진실의 말과 함께 보냈다.
영어niv,30 And Mordecai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in the 127 provinces of the kingdom of Xerxes--words of goodwill and assurance--
영어nasb,30 And he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to the 127 provinces of the kingdom of Ahasuerus, namely, words of peace and truth,
영어msg,30 to endorse and ratify what he wrote. Calming and reassuring letters went out to all the Jews throughout the 127 provinces of Xerxes' kingdom
영어nrsv,30 Letters were sent wishing peace and security to all the Jews, to the one hundred twenty-seven provinces of the kingdom of Ahasuerus,
라틴어vulgate,30 et miserunt ad omnes Iudaeos qui in centum viginti septem regis Asueri provinciis versabantur ut haberent pacem et susciperent veritatem
히브리어구약bhs,30 וַיִּשְׁלַח סְפָרִים אֶל־כָּל־הַיְּהוּדִים אֶל־שֶׁבַע וְעֶשְׂרִים וּמֵאָה מְדִינָה מַלְכוּת אֲחַשְׁוֵרֹושׁ דִּבְרֵי שָׁלֹום וֶאֱמֶת׃
성 경: [에9:30]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 이것은 에스더가 쓴 '둘째 편지'의 내용이 주로 어떤 성격의 것이었는지를 말해준다. 즉, 그 '둘째 편지'는 (1) 유대인들에게 에스더 자신의 선한 뜻을 표현하기 위한 인사말, 곧 '화평이 있으라'(*, 솰롬)라는 말로 시작되었으며, (2) 자신이 여전히 신실한 유대 여인임을 분명히 자각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진실한'(*, 에메트)말로 메워져 있었을 것이다(Paton). 이러한 표현은 당시 일상적으로 사용했던 말, 즉 '평안할지어다'(스 4:17) 혹은 '만한하옵소서'의 변형일 것이다(Rawlinson).
써서 - 엄밀히 말하여 히브리 원문에는 이를 표현하는 말이 쓰여 있지 않다. 뜻이 잘 통하도록 하기 위한 번역자의 삽입인 듯하다.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 '유다 모든 사람'에는 당시 팔레스틴에서 살던 유대인들도 포함된다(3:13). 한편, '보내어'(*, 이쉴라흐)는 3인칭 남성 단수로 쓰여졌다. 이러한 서술은 결국 '둘째 편지'가 에스더의 주도 아래 쓰여졌고(29절), 모르드개에 의해서 전국에 보내졌음을 시사한다.
레카옘 에트 예메 핲푸림 하엘레 비즈만네헴 카아쉘 키얌 알레헴 모르도카이 하예후디 웨에스테르 함말카 웨카아쉘 키예무 알 나프솸 웨알 자르암 디브레 하초모트 웨자아카탐
개역개정*,31 정한 기간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가 명령한 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으로 말미암아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새번역,31 이 편지는 이틀 동안 계속되는 부림절을 확정짓는 것이다. 이것은 유다 사람 모르드개와 에스더 왕후가 지시한 것일 뿐만 아니라, 유다 사람들 스스로도 기꺼이 부림절을 명절로 확정하고, 그 자손들도 그 때가 되면, 금식하며, 슬피 울면서 지키도록 하였다.
우리말성경,31 유다 사람 모르드개와 에스더 왕비가 정한 대로, 그 금식하고 슬퍼하던 것을 인해 그들 스스로 자신들과 그 후손을 위해 세운 대로 그 정해진 때를 부림절로 정했습니다.
가톨릭성경,31 이는 유다인 모르도카이와 에스테르 왕비가 그들에게 확정하여 준 대로, 그리고 그들이 단식과 통곡과 관련해서 그들 자신과 후손들을 위하여 확정한 대로, 정해진 때에 이 푸림절을 지내도록 재차 확정하는 것이었다.
영어niv,31 to establish these days of Purim at their designated times, as Mordecai the Jew and Queen Esther had decreed for them, and as they had established for themselves and their descendants in regard to their times of fasting and lamentation.
영어nasb,31 to establish these days of Purim at their appointed times, just as Mordecai the Jew and Queen Esther had established for them, and just as they had established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descendants with instructions for their times of fasting and their lamentations.
영어msg,31 to fix these days of Purim their assigned place on the calendar, dates set by Mordecai the Jew--what they had agreed to for themselves and their descendants regarding their fasting and mourning.
영어nrsv,31 and giving orders that these days of Purim should be observed at their appointed seasons, as the Jew Mordecai and Queen Esther enjoined on the Jews, just as they had laid down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descendants regulations concerning their fasts and their lamentations.
라틴어vulgate,31 observantes dies Sortium et suo tempore cum gaudio celebrarent sicut constituerat Mardocheus et Hester et illi observanda susceperant a se et a semine suo ieiunia atque clamores et Sortium dies
히브리어구약bhs,31 לְקַיֵּם אֵת־יְמֵי הַפֻּרִים הָאֵלֶּה בִּזְמַנֵּיהֶם כַּאֲשֶׁר קִיַּם עֲלֵיהֶם מָרְדֳּכַי הַיְּהוּדִי וְאֶסְתֵּר הַמַּלְכָּה וְכַאֲשֶׁר קִיְּמוּ עַל־נַפְשָׁם וְעַל־זַרְעָם דִּבְרֵי הַצֹּמֹות וְזַעֲקָתָם׃
성 경: [에9:31]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정한 기한 - 21절을 참조하라.
지키게 하였으니 - 21절의 '한 규례를 세워'와 동일한 단어이다(27절).
이는...모르드개와...에스더의 명한 바 - 문자적으로는 '마치...모르드개와...에스더가 정했던 것과 같이'라는 말로 이는 '모드드개'가 첫째 편지를 보냈던 일을 가리킨다(Paton). 그런데 비록 20-22절에 보면 '첫째 편지'가 모르드개 단독으로 보낸 것처럼 되어 있지만, 사실상 그 편지는 에스더의 지원 혹은 지지 아래 보내졌을 것이 뻔하다. 다만 그 편지를 보내는 일의 주도자가 '모르드개'였을 뿐이었다.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을 인하여...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 문자적으로는 '그리고 마치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는 것을 정했던 것과 같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모르드개의 첫 번째 서신(20-22절)에는 '금식과 부르짖음'에 관한 명령이 없다. 그러나 우리는 모르드개의 서신 내용 가운데는 '슬픔'과 '애통'이라는 단어가 들어있다는 사실(22절)에 근거하여, 그의 서신 내용 중에는 '금식과 부르짖음'에 관한 명령이 담겨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Paton). 즉, 모르드개는 유대인들이 대적을 물리친 그 다음날 안식하며 잔치했던 일에 근거하여 그 날을 '경절'로 지키게 했듯이(22절), 유대인들이 12월 13일을 인하여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4:3)에 근거하여 '금식과 부르짖음'도 그 '경절' 행사 중의 하나로 지키게끔 명령했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금식과 부르짖음'이 부림절의 두 날 곧, 12월14일과 15일 중 어떤 날에 행해지게끔 명령됐는 지는 알 수 없다.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 27절 주석을 참조하라.
우마아말 에스텔 키얌 디브레 핲푸림 하엘레 웨니크타브 밧세페르
개역개정*,32 에스더의 명령이 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하게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새번역,32 부림절에 관한 규정은, 에스더의 명령으로 이렇게 확정되고, 그것은 글로 기록되었다.
우리말성경,32 에스더의 명령에 따라 부림절에 관한 규례가 확정됐고 책에 기록돼 있습니다.
가톨릭성경,32 이렇게 에스테르의 명령에 따라 푸림절 규정들이 확정되었고, 또 이것은 책에 기록되었다.
영어niv,32 Esther's decree confirmed these regulations about Purim, and it was written down in the records.
영어nasb,32 And the command of Esther established these customs for Purim, and it was written in the book.
영어msg,32 Esther's word confirmed the tradition of Purim and was written in the book.
영어nrsv,32 The command of Queen Esther fixed these practices of Purim, and it was recorded in writing.
라틴어vulgate,32 et omnia quae libri huius qui vocatur Hester historia continentur
히브리어구약bhs,32 וּמַאֲמַר אֶסְתֵּר קִיַּם דִּבְרֵי הַפֻּרִים הָאֵלֶּה וְנִכְתָּב בַּסֵּפֶר׃ ף
성 경: [에9:32]
주제1: [유대인들의 승리와 축제]
주제2: [부림절 제정]
에스더의 명령 - 에스더가 보낸 '둘째 편지'를 가리킨다(29절).
이 부림에 대한 일 - '부림절'을 지키는 방법과 날짜(21, 26-28절)등의 내용을 가리킨다.
견고히 하였고 - 27절의 '작정하고'와 동일한 동사이며 같은 의미이다.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 여기의 '책'은 문자적으로 '그 책'으로서, 에스더서도 아니고 모르드개가 보낸 편지도 아니다. 이것은 에스더서를 쓰는 데 사용된 자료, 즉 당시 모르드개가 기록했었을 유대인들만의 역대 일지였던 것 같다. 본서의 저자는 바로 이 '역대 일지'를 통하여 모르드개의 첫째 편지와 에스더의 둘째 편지 내용도 알수 있었을 것이다(Rawlinson).
'HEBREW B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욥기 1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0 |
---|---|
히브리어 에스더 10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0 |
히브리어 에스더 8장 전체 원어 원문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0 |
히브리어 에스더 7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0 |
히브리어 에스더 6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0) | 202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