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BREW BIBLE

히브리어 에스더 10장 전체 원어 성경 공부 주석 강해 설교

 

와야셈 함메렠 아하쉐로쉬 아하쉐웨로쉬 마스 알 하아레츠 웨이예 하얌 

 

개역개정*,1 아하수에로 왕이 그의 본토와 바다 섬들로 하여금 조공을 바치게 하였더라 
새번역,1 아하수에로 왕은, 본토뿐 아니라, 바다 건너 여러 섬에도 조공을 바치라고 명령하였다.
우리말성경,1 아하수에로 왕은 왕국 전역과 바다의 섬들에 조공을 바치도록 했습니다. 
가톨릭성경,1 크세르크세스 임금은 육지와 바다의 섬들에 조공을 부과하였다. 
영어niv,1 King Xerxes imposed tribute throughout the empire, to its distant shores.
영어nasb,1 Now King Ahasuerus laid a tribute on the land and on the coastlands of the sea.
영어msg,1  King Xerxes imposed taxes from one end of his empire to the other.
영어nrsv,1 King Ahasuerus laid tribute on the land and on the islands of the sea.
헬라어구약septuagint,1 εγραψεν δε ο βασιλευς τελη επι την βασιλειαν της τε γης και της θαλασσης
라틴어vulgate,1 rex vero Asuerus omnem terram et cunctas maris insulas fecit tributarias
히브리어구약bhs,1 וַיָּשֶׂם הַמֶּלֶךְ [כ= אֲחַשֵׁרֹשׁ] [ק= אֲחַשְׁוֵרֹושׁ] מַס עַל־הָאָרֶץ וְאִיֵּי הַיָּם׃


성 경: [에10:1]

주제1: [유대인의 승귀(昇貴)를 위한 섭리들]

주제2: [아하수에로의 행적]

󰃨 아하수에로 왕이...공을 바치게 하였더라 - 페르시아 제국의 왕들이 식민지로부터 세금을 받는 일은 항상 계속되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서의 저자가 이와 같은 사실을 새삼 언급한 것은, '아하수에로 왕'이 세금 징수와 관련한 대규모적인 개편 작업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즉, '아하수에로 왕'은 선대(先代) 왕들이 이루어 놓은 세금제도를 자신이 다스렸던 형편에 맞게 개편하였던 것이다. 그가 이렇게 해야만 했던 것은 그리이스와의 전쟁을 통해서 영토의 일부를 상실했고, 또 그밖의 나라와의 전쟁을 통해서는 영토를 확장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아하수에로 왕'은 이 같은 영토의 변화에 따라서 그에 맞는 세금 징수 체계를 갖추어야만 했다. 본 문구는 바로 이러한 사실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언급된 '공'(*, 마스)은 초기에는 주로 '노동력 동원' '강제 노역', '농노제도'(C.A. Moore) 등을 의미했다(창 49:15;수17:13). 그러나 후기에 들어와서는 '세금'을 뜻하기 시작해 왕에게 돌아갈 소득이나 돈, 즉 '인두세'(Schultz)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애 1:1).

󰃨 그 본토와 바다 섬들로 - 여기서 '본토'(*,에레츠)는 인도에서부터 구스에 이르는 '일백 이십 칠 도'를 가리킬 것이다(1:1). 그리고 '바다'(*, 이예이)는 '섬'과 '해안 지역'(창 10:5;사 20:6;40:15;단 11:18;습 2:11). 그리고 '무역과 군사활동을 위한 해상로'(Rawlinson)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섬'은 지중해의 여러 섬들 중 크레타 섬의 동쪽에 있는 '섬들'을 가리키는 듯하고 '해안 지역'은 주로 팔레스틴의 지중해 연안, 즉 페니키아 사람들이 살던 시돈과 두로 지역을 가리키는 듯하다. 그런데 이러한 본절은 페르시아 제국의 광대함을 암시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진 것 같다.

 

 

웨콜 마아세 타크포 우게부라토 우파라솨트 게둘라트 모르도카이 아쉘 긷델로 함메렠 할로 헴 케투빔 알 세펠 다브레 하야밈 레말레케 마다이 우파라스 

 

개역개정*,2 왕의 능력 있는 모든 행적과 모르드개를 높여 존귀하게 한 사적이 메대와 바사 왕들의 일기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새번역,2 그가 그 막강한 힘과 권력을 가지고 이룬 모든 업적과, 모르드개에게 높은 벼슬을 주어서 영화롭게 한 모든 내용이, 메대와 페르시아의 왕조실록에 기록되어서 전하여 온다.
우리말성경,2 그의 모든 권세 있는 행적은 왕이 높여 준 모르드개가 승승장구하게 된 모든 내용과 함께 메대와 페르시아 왕들의 연대기에 기록돼 있지 않습니까? 
가톨릭성경,2 그의 강력하고 막강한 업적과 임금이 중용한 모르도카이의 위대함에 관한 자세한 사항들은 실제로 메디아와 페르시아 임금들의 일지에 기록되어 있다. 
영어niv,2 And all his acts of power and might, together with a full account of the greatness of Mordecai to which the king had raised him, 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annals of the kings of Media and Persia?
영어nasb,2 And all the accomplishments of his authority and strength, and the full account of the greatness of Mordecai, to which the king advanced him, 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Chronicles of the Kings of Media and Persia?
영어msg,2  For the rest of it, King Xerxes' extensive accomplishments, along with a detailed account of the brilliance of Mordecai, whom the king had promoted, that's all written in The Chronicles of the Kings of Media and Persia.
영어nrsv,2 All the acts of his power and might, and the full account of the high honor of Mordecai, to which the king advanced him, are they not written in the annals of the kings of Media and Persia?
헬라어구약septuagint,2 και την ισχυν αυτου και ανδραγαθιαν πλουτον τε και δοξαν της βασιλειας αυτου ιδου γεγραπται εν βιβλιω βασιλεων περσων και μηδων εις μνημοσυνον
라틴어vulgate,2 cuius fortitudo et imperium et dignitas atque sublimitas qua exaltavit Mardocheum scripta sunt in libris Medorum atque Persarum
히브리어구약bhs,2 וְכָל־מַעֲשֵׂה תָקְפֹּו וּגְבוּרָתֹו וּפָרָשַׁת גְּדֻלַּת מָרְדֳּכַי אֲשֶׁר גִּדְּלֹו הַמֶּלֶךְ הֲלֹוא־הֵם כְּתוּבִים עַל־סֵפֶר דִּבְרֵי הַיָּמִים לְמַלְכֵי מָדַי וּפָרָס׃


성 경: [에10:2]

주제1: [유대인의 승귀(昇貴)를 위한 섭리들]

주제2: [아하수에로의 행적]

󰃨 왕의 능력의 모든 행적 - 아하수에로왕은 그리이스와의 살라미 전투에서 패배한(B.C. 479년) 후부터는 헤로도투스의 역사 기록에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행적'중 그 이후의 것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다. 그러나 헤로도투스의 역사 기록 마지막 부분에 나타나 있는 '페르시아 사람들이 비옥한 땅을 일구며 타국에 예속해서 사느니보다 척박한 땅에 살며 다른 민족을 지배하는 길을 택하기로 했었다'라는 이야기를 통해서 볼때, 아하수에로 왕은 그리이스와의 전쟁을 삼가고 오직 그밖의 지역에 대한 정복전만을 펼쳤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하기에 비록 그가 그리이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기는 했지만, 그는 당대의 가장 강력한 군주였음이 너무도 분명하다.

󰃨 모르드개를 높여 존귀케 한 사적 - 문자적으로 '왕이 존귀케 한 모르드개의 위대함에 대한 분명한 설명'의 뜻이다. 따라서 앞의 문구가 '왕의 위대함'을 강조한다고 하면, 본 문구는 '모르드개'의 위대함을 강조한 것이 분명하다. 다시 말해서 이는 모르드개가 페르시아 제국의 제 2인자가 된 것을 강조해서 가리킨다(8:2). 이같이 모르드개의 존귀케 됨은 곧 유대인들이 존귀케 되었음을 가리킨다. 그런데 여기서 '사적'(*, 파라솨)은 '해석하다' 혹은 '보이다'(느 8:8)의 뜻을 갖는 동사 '파라솨'(*)에서 파생된 명사로서 '자세한 설명' 혹은 '분명한 진술'을 가리킨다(Keil).

󰃨 메대와 바사 열왕의 일기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 이 같은 언급은 다른 역사서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앞에 기록된 내용이 정확한 것임을 강조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왕상 14:29;15:7, 23, 31;왕하 15:36;대하 12:15). 그런데 여기의 '메대와 바사 열왕의 일기'는 모르드개가 역모자들의 음모를 고발했던 사실이 기록됐던 '궁중 일기'와는 전혀 다른 것인듯하다(2:23;6:1). 이 '궁중 일기'에 왕실내의 문제들이 기록되었다고 한다면, 여기의 '메대와 바사 열왕의 일기'에는 보다 더 공적인, 그래서 보다 중대한 사실들이 실려졌을 것이다(Paton, Baldwin). 그러므로 '모르드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바로 이 '메대와 바사 열왕의 일기'에 기록됐다는 것은 그와 유대인들에게는 대단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사실은 이것이 '페르시아 열왕의 일기'였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메대와 바사 열왕의 일기'라고 한 것은 페르시아가 메대의 역사적 전통을 계승하는 등 두 나라가 갖고 있는 긴밀한 관계 때문이었을 것으로 사료된다(1:3).

 

 

 

키 모르도카이 하예후디 미쉬네 람메렠 아하쉐웨로쉬 웨가돌 라예후딤 웨라추이 레롭 에하우 도레쉬 토브 레암모 웨도베르 솰롬 레콜 자르오

 

개역개정*,3 유다인 모르드개가 아하수에로 왕의 다음이 되고 유다인 중에 크게 존경받고 그의 허다한 형제에게 사랑을 받고 그의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며 그의 모든 종족을 안위하였더라
새번역,3 유다 사람 모르드개는 아하수에로 왕 다음으로 실권이 있었다. 그는 유다 사람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았다. 특히 자기 백성이 잘 되도록 꾀하였고, 유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살도록 애썼으므로, 같은 겨레인 유다 사람은 모두 그를 좋아하였다.
우리말성경,3 유다 사람 모르드개는 아하수에로 왕 다음가는 사람으로 유다 사람들 가운데 출중한 사람이었고 많은 유다 동족 사람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는데 그가 자기 백성들을 위해 일했고 모든 유다 사람들의 안녕을 위해 힘썼기 때문입니다. 
가톨릭성경,3 사실, 유다인 모르도카이는 크세르크세스 임금 다음가는 제이인자였으며, 자기 백성의 행복을 추구하고 자기 동족 전체의 평화를 역설하여 유다인들에게 존경을 받고 많은 동포들에게서 사랑을 받았다.
영어niv,3 Mordecai the Jew was second in rank to King Xerxes, preeminent among the Jews, and held in high esteem by his many fellow Jews, because he worked for the good of his people and spoke up for the welfare of all the Jews.
영어nasb,3 For Mordecai the Jew was second only to King Ahasuerus and great among the Jews, and in favor with the multitude of his kinsmen, one who sought the good of his people and one who spoke for the welfare of his whole nation.
영어msg,3  Mordecai the Jew ranked second in command to King Xerxes. He was popular among the Jews and greatly respected by them. He worked hard for the good of his people; he cared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his race.
영어nrsv,3 For Mordecai the Jew was next in rank to King Ahasuerus, and he was powerful among the Jews and popular with his many kindred, for he sought the good of his people and interceded for the welfare of all his descendants.
헬라어구약septuagint,3 ο δε μαρδοχαιος διεδεχετο τον βασιλεα αρταξερξην και μεγας ην εν τη βασιλεια και δεδοξασμενος υπο των ιουδαιων και φιλουμενος διηγειτο την αγωγην παντι τω εθνει αυτου .
라틴어vulgate,3 (없음)
히브리어구약bhs,3 כִּי מָרְדֳּכַי הַיְּהוּדִי מִשְׁנֶה לַמֶּלֶךְ אֲחַשְׁוֵרֹושׁ וְגָדֹול לַיְּהוּדִים וְרָצוּי לְרֹב אֶחָיו דֹּרֵשׁ טֹוב לְעַמֹּו וְדֹבֵר שָׁלֹום לְכָל־זַרְעֹו׃

 

성 경: [에10:3]

주제1: [유대인의 승귀(昇貴)를 위한 섭리들]

주제2: [모르드개의 영광]

본절은 왜 모르드개의 일이 '메대와 바사 열왕의 일기'에 기록될 수 있었는지 그 이유를 말하고 있다(Paton).

󰃨 모르드개가...왕의 다음이 되고 - 여기서 '다음'(*, 미쉬네)은 문자적으로는 '두 번째'를 의미하나 구체적으로는 모르드개가 '총리 대신'(대하 28:7)의 직위에 올랐음을 가리킨다. '모르드개'가 바로 이러한 직위에 올랐던 것에 대한 증거는 (1) 그가 왕의 허락 없이도 자유로이 왕에게 나아갈 수 있었던 사실(8:1), (2) 그가 제 2인자였던 하만이 갖고 있던 왕의 반지를(3:1, 10) 넘겨 받았었던 사실(8:2), (3) 그가 왕만이 입을 수 있었던 제왕색(帝王色)의 옷을 입었던 사실(8:15) 등이다.

󰃨 유다인 중에 존대하여 - '존대하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가돌'(*)은 '위대한', '크게된' 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표현은 그가 유대인들로부터 존귀한 인물로 인정되었음을 말한다(Keil).

󰃨 그 허다한 형제에게 굄을 받고 - 여기의 '허다한'(*, 로브)은 '증가하다'. '많아지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많은', '차고 넘치는', '수를 헤아릴 수 없는'등의 뜻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모든'의 뜻으로도 이해된다(욥 4:14). 한편, '형제'(*, 아흐)는 '동족'을 의미하는 바(레 25:39, 46-48;신 2:4, 8). 곧'유대인들'을 가리킨다. 그러나 '굄을 받고'(*, 라추이)는 '좋아하다' 혹은 '호의를 보이다' 등의 뜻이 있는 동사 '라차'(*)의 수동 분사 형태이다. 따라서 이것은 '사랑을 받고'란 의미이다(신 33:24).

󰃨 그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여 - '이익을 도모하여'(*, 다라쉬 토브)는 '복지를 추구하다'혹은 '부(富)를 추구하다'의 뜻으로 이해된다. 요세푸스는 이것을 모르드개가 백성들의 기대이상으로 그들을 번영케 한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매우 적절한 해석인 듯하다.

󰃨 그 모든 종족을 안위(安慰)하였더라 - 여기서 '그 모든 종족'(*, 칼자르오)은 문자적으로 '그의 모든 자손'이란 의미이다. 그런데 여기의 '자오'는 오직 이스라엘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단어이므로 여기의 '그 모든 종족'은 '모든 유대인들'을 가리키는 말인 셈이다. 한편, '안위하였더라'(*, 다바르 솰롬)는 문자적으로 '안녕(평강)을 선포하였더라'는 뜻으로서 유대인들이 평강하기를 기원하고, 또한 그렇게 되도록 노력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데 여기에서의 '안위'(솰롬)는 특별히 건강, 안전, 물질의 풍요와 훌륭한 상호 관계등이 모든 형통을 뜻한다(Bald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