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송태근목사님

[출애굽기 강해 시리즈] 29강 소 | 출애굽기 21장 28-36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소에 대한 이야기

갑자기 소 이야기가 나와서 많이 놀라셨죠? 이번 강의 주제는 소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엄밀히 말하면 원래 소와는 다른 내용입니다. 우리는 지금 ‘표면적 배경 속에 감춰진 의미’를 살펴보려 합니다.

 

11장의 법과 소에 대한 규정

11장을 보면, 소에 관한 법이 등장합니다. 이 법이 중요한 이유는 당시 사람들에게 필요한 법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법은 가나안 땅에 정착하며 필요한 규정이었으며, 농경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인 소와 관련된 법률입니다.

 

헌법과 기독교적 가치

최근 발의된 차별금지법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우리 교육자들이 헌법에 대해 공부하고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우리나라 헌법은 최상위 법으로, 그 아래에는 기본법과 개별 법들이 존재합니다. 하나님의 법 역시 비슷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구약의 법도 신의 말씀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소에 관한 법과 생명 존중

소는 당시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였으며, 이 법은 단순히 동물 보호법이 아니라 재물 보호와 생명 존중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소의 주인이 소가 사람을 죽였을 경우, 그 소를 처벌하는 법은 그 시대의 중요한 사회 질서를 반영합니다. 이 법을 통해 우리는 생명의 존중과 이웃의 재물 보호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타인에 대한 존중과 사회적 책임

우리 사회에서 생명과 재물을 보호하는 것은 중요한 가치입니다. 종의 재산에 대한 존중, 그리고 사람의 생명을 존중하는 태도가 그리스도인에게는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타인의 재물을 훔치는 것은 성경에서 금지된 행위입니다. 또한, 종이든 상관없이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존중받아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법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과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문제입니다.

 

교회와 사회의 책임

우리는 모든 인간의 생명과 재물을 존중하며,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진 이웃을 사랑해야 합니다. 이 법은 단순히 과거의 법이 아니라, 현재 우리 사회에서 실천해야 할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자연과 환경을 보호하며, 이웃의 재물을 보호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이 땅과 그 위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결론: 생명 존중과 그리스도인의 태도

결국,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생명의 존중입니다. 모든 생명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졌으며, 우리는 이를 존중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이 세상에서 모든 이웃과 자연을 하나님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그들에게 존경과 사랑을 표현해야 합니다. 이러한 태도가 바로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올바르게 살아가는 길입니다.

 

아래 풀버전 영상을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