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특별 설교

김기석 목사에게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요? 하나님이란? | 김기석 목사 | 청파감리교회 | 강의 설교 요약 정리 설명

하나님과의 만남: 처음의 낯설음에서 이해로

처음 하나님은 나에게 매우 낯선 존재로 다가왔습니다. 하나님을 이해할 수 없었고, 그분이 내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여러 사건을 통해 하나님은 점차 내게 다가오셨고, 나는 그분을 조금씩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의 오해와 고통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을 믿으면 인생에서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하나님께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그럴 때,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겪는 고통을 보면, 그 아픔을 함께 느끼고 싶어하는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사랑의 범위는 언제나 내가 가까운 사람들에게만 한정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인간의 고통과 하나님에 대한 이해

인간은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지만, 우리가 겪는 고통은 결코 나만의 것이 아닙니다. 인간이 태어나고 성장하고 병들며 죽어가는 것은 모두 보편적인 경험입니다. 어떤 사람은 일찍 죽고, 어떤 사람은 오랫동안 살지만, 결국 모든 것은 시간 속에서 아주 짧은 순간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을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우리가 겪고 있는 삶의 기본적인 조건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인간의 몸과 내적 성찰

인간은 몸을 가진 존재이지만,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내적 성찰은 때로 자신이 가진 몸에 대한 불만족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몸은 인간에게 다양한 욕망을 일으키고, 그 욕망은 인간을 괴롭히기 마련입니다. 기독교 전통에서 인간의 악덕은 몸의 욕구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합니다. 탐식, 탐색, 물건에 대한 욕심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입니다.

 

욕구의 좌절과 인간의 악덕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분노를 일으킵니다. 이 욕구의 좌절은 두 가지 악덕을 초래합니다. 첫째, 낙담입니다. "이제 더 이상 할 수 없다"며 자신의 삶에 대한 절망감을 느끼게 됩니다. 둘째, 나태함입니다. "어차피 안 되는 일이라면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마음으로 나태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원하는 것들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자만과 교만에 빠질 위험도 존재합니다.

 

기독교의 가르침과 인간의 성찰

기독교 전통은 인간의 욕구를 다스리는 방법으로 순명, 정결함, 가난 등을 강조합니다. 탐식, 탐색, 물질적 욕망을 다스리는 방법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을 통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삶을 통해 인간은 왜곡된 욕망을 다스리고, 신앙의 미덕을 실천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리기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내 인생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존재로서만 그분을 믿는 것이 아닙니다. 신앙이 깊어지면 우리는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리기 시작하고, 그분의 뜻을 내 마음에 모셔들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분은 언제나 사건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십니다. 따라서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의 사건을 통해 배우는 교훈

하나님은 때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을 겪게 하시지만, 그 고통은 우리를 더 깊은 신앙으로 인도합니다. 고통을 겪으면서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다른 사람들의 고통에 더 민감하게 됩니다. 그 고통을 어떻게 이겨낼지 고민하면서, 그 경험을 통해 다른 이들에게 다가가고,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게 됩니다.

 

고통 속에서 배우는 신앙

우리는 고통을 피할 수 없지만, 그 고통 속에서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성숙해갈 수 있습니다. 고통받고 있는 타자의 삶을 돌아보며, 그들에게 손을 내밀고 하나님의 사랑을 나누는 것이 진정한 신앙입니다. 하나님은 고통을 통해 우리를 성장시키시고,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가십니다.

 

아래 풀버전 영상을 꼭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