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

(3338)
새찬송가 451장(통일 504장) 예수 영광 버리사 - 악보 및 해설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밀러(Frederick S. Miller, 1866~1952) 목사의 한국어 창작 찬송이다. 영어 제목은 "Looking unto Jesus"(예수를 바라봄)로 되어 있다. [찬셩시](1905년)에는 밀러(한국명 : 민로아) 선교사의 번역 찬송 28편이 수록되었는데, 이 중 5편(통일 94, 307, 379, 504, 516장)은 한국어 창작 찬송이다. 곡명 "PARACLETE"(위로자)는 로손(G. Rowson)의 "Holy Ghost, the Infinite!"(무한하신 주 성령, 통일 180장)의 곡으로 미국 장로교 찬송가(The New Laudes Domini, 1892년)에 작곡자가 버마(U. C. Burmar)로 되어 있다. 버마는 19세기의 미국인으로 추정된다. 곡명은 ..
새찬송가 450장(통일 376장) 내 평생 소원 이것뿐 - 악보 및 해설 [찬송가](1908년, 155장)에 영어 제목이 "My one wish"(나의 한 가지 소원)로 처음 수록되었는데, 번역 찬송이 아니고 한국어 창작 찬송으로 추정된다. 곡명 "AZMON"(아즈몬)은 23장과 같은 곡이다.
새찬송가 449장(통일 377장) 예수 따라가며 - 악보 및 해설 이 찬송의 작곡자 타우너(Daniel B. Towner, 1850~1919)는 부흥사 무디(D. L. Moody) 선생의 집회에서 독창자로 부흥회를 돕고 있었는데, 그는 한 젊은이가 간증으로 한 말을 이 찬송의 후렴 가사로 적어 장로교 목사인 사미스(John H. Sammis, 1846~1919)에게 보내어 만들어진 복음찬송이다. 곡명 "TRUST AND OBEY"(의지하고 순종하라)는 제목에서 딴 것이며, 시카고에서 출간된 복음찬송집(Hymns Old and New, 1887년)에 처음 수록되었다. 타우너는 무디 선생의 음악 동역자였으며, 후에는 시카고의 무디성경학교 음악 교수로 복음적 교회 음악 지도자 양성에 주력하였고, 2,000여 편의 복음찬송을 작곡하였다. [찬숑가](1909년, 265장)에 처..
새찬송가 448장 주님 가신 길을 따라 - 악보 및 해설 작사자 임종락(任鍾洛, 1927~ ) 목사는 감리교 목사로서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옥촌리 150에서 태어났다. 감리교신학대학을 졸업한 후 국제대학정경과를 졸업하였다. 국가 공무원으로 10년 일한 후, 기독교대한감리회 전도사 6년, 목사 27년을 일하면서, 요한중학원장 3년, 중앙유아원장 9년, 강화서지반감리사 3회, 중부연회 재정상임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강화군양사면교산리 강화 교산교회에서 은퇴하였다. 그는 이 찬송 작사 동기를 이렇게 적어 보냈다. "오늘날 말세현상으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점점 타락의 길, 즉 넓은 문, 넓은 길을 따라 인본주의 신앙으로 기울어져 가는 경향이 농후함을 인식하고, 나는 주님 가신 길을 따라 살아보려는 의지에서 작사한 것이다. 주님의 택하심과 부르심을 받은 성도라면 주님의..
새찬송가 447장(통일 448장) 이 세상 끝날까지 - 악보 및 해설 영국 국교회의 보드(John E. Bode, 1816~1874) 목사가 1866년 그의 딸과 두 아들의 견진 성사를 위해 쓴 찬송시로 "For the newly confirmed"(새로 견진한 이를 위하여)란 제목으로 찬송집(Psalms and Hymns, 1869년)에 수록되었다. 견진 성사는 입교 예식에 해당하는 성공회 예식이다. 곡명 "ANGEL'S STORY"(천사의 이야기)는 영국의 만(Arthur H. Mann, 1850~1929)이 "I love to hear story which angel voices tell"(E. H. Miller 작사)의 곡으로 작곡하였기 때문에 이 찬송의 가사와 관련하여 붙여진 것이며, 영국 감리교 주일학교 노래집(The Methodist Sunday School ..
새찬송가 446장(통일 500장) 주 음성 외에는 - 악보 및 해설 미국의 침례교인인 호크(Annie S. Hawks, 1835~1918) 여사는 1872년 어느 날 가사 일을 하다가 주님의 임재의 기쁨을 느끼면서 "I need Thee every hour"(저는 주님이 매 시간 필요합니다)란 구절로 시작사는 찬송시를 썼다. 그녀의 교회 로리(Robert Lowry, 1828~1899) 목사가 작곡하여 1872년 11월 침례교 주일학교 전국 총회에서 처음 소개하였다. 곡명 "NEED"(필요)는 이 가사에서 딴 것이다. [찬숑가](1908년, 166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새찬송가 445장(통일 502장) 태산을 넘어 험곡에 가도 - 악보 및 해설 미국 감리교 젤리(Henry J. Zelley, 1859~1942) 목사가 쿡(George H. Cook, ?~1948)이 작곡한 곡에다 가사를 붙여 둘 것을 요청 받고 작사한 것으로 커크패트릭과 길모어가 편찬한 복음찬송집(Gospel Praise, 1899년)에 처음 수록되었다. 곡명 "HEAVENLY SUNLIGHT"(하늘의 햇빛)는 제목을 사용한 것이다. [신증 복음가](1919년, 107장)에 이장하의 번역으로 수록되었다.
새찬송가 444장 겟세마네 동산에서 - 악보 및 해설 작사자 한경직(韓景職, 1902~2000) 목사는 1902년 평안남도 평원군 공덕면 간리에서 출생하였다. 오산중학교, 숭실대학교를 졸업하고 1926년 미국 엠포리아대학, 1929 미국 프린스턴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48 미국 엠포리아대학 명예신학박사, 1956 연세대학교 명예신학박사, 1977 숭실대학교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1 평양 숭인상업학교 교목 겸 교사, 1933 신의주제2교회 목사(10년 시무), 1939 신의주 보린원(고아원) 설립, 1945 서울 영락교회 창립(27년 시무), 1947 영락보린원 설립, 1947 대광학원 이사장, 1950 보성학원 이사장, 1950 CCF(기독교아동복지재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51 부산 다비다모자원 설립, 1952 영락경로원 설립,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