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

(3338)
새찬송가 467장 높으신 주께서 낮아지심은 - 악보 및 해설 요한복음 12:3절의「옥합을 깨뜨린 여인」의 기사를 근거로 작사 · 작곡된 이 찬송은, 먼저《찬송가(신작 증보판)》576장에 채택되었었는데, 여기에도 채택되었다. 하나님의 영광 자리 떠나, 짐승의 먹이 통 구유에까지 낮은 데로 오셔서, 제자의 발까지 씻기시며 인류를 속량하신 주 은혜 감사해, 베다니의 마리아 같이「나의 옥합을 깨뜨립니다」하는 신앙고백이다. 작사자 박지혜(朴智慧, 1942~ ) 권사는 충남 청양 태생이다. 숙명여대를 졸업한 후, 하나님의성회 시카고신학대학을 졸업하였다. 한국 문협․한국 시협․한국 수필가 협회 회원, 국제 PEN클럽 회원, 한국기독교문인협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서 시집「초막의 노래」,「겨울 日記」수필집「우리 잠시 머무는 곳에서」,「작은 나눔을 위하여」등이 있다. 신촌..
새찬송가 466장 죽기까지 사랑하신 주 - 악보 및 해설 예수님께서 겟세마네로 가시기 직전 설교하신 다음의 말씀을 가지고, 스페인 사람 파드레 호세 웨버(Padre José Weber)가 1970년에 작사·작곡한 복음송이다. 세계교회협의회(WCC)에서 발행한《깐따떼 도미노》'Cantate Domino' 177장에 이 찬송이 있었다. 스페인어와 영어 그리고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있어서, 각국에서 온 사람이 아는 가사로 부를 수 있게 하였다. 참으로 유감스러운 것은 그리스도인 숫자가 우리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일본 찬송은 여러 곡 들어 있는데, 우리 찬송은 단 한 곡도 없었다. 책 뒤의 출처 목록(Index of Sources)을 보면, 영어 가사는 헬레나 스코트(Helena Scott), 프랑스어 가사는 호세 웨버(José Weber)가 성경 말씀을 곡조 운에..
새찬송가 465장(통일 523장) 주 믿는 나 남 위해 - 악보 및 해설 미국 회중 교회 목사 월터(Howard A. Walter, 1883~1918)가 일본 와세다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쳤던 23세의 청년 시절에 쓴 이 찬송시는 그의 생활 신조를 노래한 "My Creed"(나의 신조)라는 시에서 온 것이다. 이 시는 미국에 있는 그의 어머니에게 보내졌는데 이를 잡지(Harper's Bazaar, 1907년 5월호)에 투고하여 발표되었다. 곡명 "PEEK"(피크)는 작곡자의 이름(Joseph Y. Peek, 1843~1911)에서 온 것이다. 미국의 감리교 전도자인 피크가 1909년 월터를 만나 "My Creed"란 시를 받아 마음에 떠오르는 선율을 그의 동료 부흥회 음악가 툴라(G. C. Tullar) 목사의 도움으로 작곡한 것이다. 화성은 툴라가 붙인 것이다. [신정 찬송가..
새찬송가 464장 믿음의 새 빛을 - 악보 및 해설 바울은 고린도전서 12장에서 각종 은사에 대해 교훈한 후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가장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하고는 저 유명한「사랑장」으로 이어가, 어떤 은사도 사랑이 없으면 소용없음을 강조한다. 이 찬송은 사랑장 맨 끝 구절 믿음 · 소망 · 사랑을 가지고 작사한 것이다. 작사자 엄상신(嚴相信, 1958~ ) 목사는 서울 중앙고등학교 2년 시절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만난 후, 기도 중에 이사야 43:1「너는 내 것」이라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부르심(소명)을 받고, 감리교 신학대학에 입학(1977)하였다. 졸업(1982) 후 문일고등학교에서 성경 및 윤리를 가르쳤고(1982~1984), 군목으로 입대해서 소령으로 전역하였다.(1984~1999). 군에 있을 당시 소말리아에 ..
새찬송가 463장(통일 518장) 신자 되기 원합니다 - 악보 및 해설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미국에 끌려온 흑인 노예뜰에게서 발생한 영가(Afro-American Spiritual) 중에 현대 찬송가에 가장 많이 수록된 것이 이 영가이다. 피셔(M. M. Fisher)는 흑인 영가에 대한 저서(Negro Slave Songs in the United States)에서 이 영가의 가사가 나온 유래를 밝혔다. 1748~1756년 사이에 데이비스(W. Davies)라는 한 장로교인이 버지니아에서 설교를 하고 있는데 한 흑인 노예가 와서 "Lord, I want to be a Christian"(선생님, 나도 기독교인이 되기를 원합니다)이라고 한 데서 나온 것이라고 했다. 곡명 "I WANT TO BE A CHRISTIAN"은 가사에서 딴 것이다. 이 곡은 워크(F. J. Work)..
새찬송가 462장(통일 517장) 생명 진리 은혜 되신 - 악보 및 해설 아일랜드 출신 영국 국교회 목사 로리(Somerset C. Lowry, 1855~1932)가 1893년에 썼으며, 1894년 2월호 복음 잡지(Godwill)에 처음 발표되었다. 곡명 "IN BABILONE"은 네덜란드의 민요곡으로 독일 출신 네덜란드 음악가 뢴트켄(Julius Bontgen, 1855~1932)이 화성을 붙인 것이다. 영국 찬송가(The English Hymnal, 1906년)에 워즈워스(Christopher Wordsworth)의 찬송 "See the Conqueror mounts in triumph"의 곡으로 수록되었다. [개편 찬송가](1967년, 361장)에 처음 수록되었다.
새찬송가 461장(통일 519장) 십자가를 질 수 있나 - 악보 및 해설 미국 보스턴대학 신학원 교수였던 말라트(Earl B. Marlatt, 1892~1976)가 신학원 학생회 임원들의 헌신 예배를 위해 찬송가를 창작해 줄 것을 요청 받고 쓴 찬송시로, 내용은 그의 설교에서 딴 것이다. 그는 이 찬송시를 쓰기 1년 전인 1924년 본 신학원의 기숙사 사감으로 있을 당시, 학생 메이슨(Harry S. Mason, 1881~1964)이 교내 창작 노래 경연대회를 위해 작곡한 곡조를 기억하고 그 곡에 맞도록 작사한 것이다. 곡명 "BEACON HILL"(비콜 힐)은 보스턴 근교의 지명에서 온 것이다. 이 곡조는 1924년 4월에 작곡되었는데, 보스턴신학원 학생이었떤 라이트(Harry Wright)의 가사를 위해 작곡한 것으로 교내 창작 노래 경연 대회에서 입상은 못 했지만 인상적..
새찬송가 460장(통일 515장) 뜻 없이 무릎 꿇는 - 악보 및 해설 미국의 외교관이며 정치가였던 헤이(John Hay, 1838~1905)가 쓴 시로 "Thy will be done"(당신의 뜻이 이뤄지이다)라는 제목으로 월간 잡지(New Monthly Magazine, 1891년 10월호)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1894년에는 찬송가(Plymouth Hymnal)에 수록되었다. 헤이는 미국의 링컨 대통령 때 비서와 루스벨트 대통령 시절에 국무 장관을 역임하였다. 곡명 "LLANGLOFFAN"(란글로판)은 웨일스의 지명에서 딴 것이다. 웨일스의 전래 곡조로 웨일스 찬송곡집(Hymnau a Thonau, 1865년)에서 왔으며, 영국 찬송가(English Hymnal, 1906년)에 수록된 곡이다. [개편 찬송가](1967년, 368장)에 처음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