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값 / 값지다 / 갓1 / 갓2 / 갓3

값(value)

사물이 지니고 있는 중요성, 가치, 의의, 물건을 사고 팔기 위해 정한 금액, 대가, 대금. 이 단어는 성경에서 하나님이 인간을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 사역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쓰여졌다. 즉, 이사야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아무 대가 없이 거저 주시는 구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값없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구원을 이루시기 위하여 예수의 피를 그 값으로 치르셨고(고전 6:20; 7:23), 이로 인해 인간은 아무 대가없이 의롭다 함을 얻었으며(롬 3:24), 값없이 복음을 전해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후 11:7). 지혜서에서 이 단어는 금이나 많은 돈을 주고도 구입할 수 없는 절대적 가치로 '지혜'를 설명하기 위하여 쓰여졌다(욥 28:15). 바울이 자신의 자비량 선교(스스로 일해서 얻은 돈으로 선교하는 것)를 강조하기 위하여 '값없이 양식을 먹지 않았다'고 언급한 문맥에서도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상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사도들 앞에서 자신이 판 밭의 값을 속인 아나니아와 삽비라 부부(행 5장), 그리고 아무 대가없이 이스라엘 포로들을 석방시킨 고레스의 경우에서도 같이(사 45:13) 금액이나 보상의 의미로 사용된 곳도 자주 나타난다. 

 

값지다(expensive)

값이 많이 나갈 만한 가치가 있다는 뜻이다. 겅경에서 이것은 주로 형옹사 '값진'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한 여자가 예수의 발에 부은 향유(막 14:3)나 옷(딤전 2:9), 진주(마 13:46), 또는 나무(계 18:12)와 같이 귀한 것으로 여겨지던 사물 앞에서 그것의 가치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단어는 하나님 편에서 귀하고 값어치 있게 여겨지는 인간의 모습을 열거하는 문맥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벧전 3:4). 

 

갓1(Gad)

1. 야곱의 일곱번째 아들이며 아셀의 친형이다. 그는 야곱이 라반의 집에서 일하는 기간 동안 라헬의 언니인 레아의 시녀 실바를 통하여 낳은 아들이며(창 30:10), 갓 지파의 조상이 되었다(창 30:11). 갓은 야곱으로부터 "군대의 박격을 받으나 도리어 그 뒤를 추격하리로다"(창 49:19)는 축복을 받았고, 모세는 그의 무용과 충성스러움을 노래하였다(신 33:20-21). 갓은 애굽에서 일곱 명의 자식을 두었다(창 46:16).

2. 다윗 시대의 선지자로서(삼상 22:3-5; 삼하 24:11-19; 대상 21:9-19; 대하 29:25), 다윗의 통치 역사를 기록한 사람. 그의 이름에 근거하여 갓 지파의 후예로 추측하기도 한다(대상 12:8). 그는 다윗이 사울을 피해 아둘람 굴에 숨어 있을 대에 유다 땅으로 옮기도록 충고했고(삼상 22:5), 다윗 왕이 인구조사를 한 것에 대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대변하였다(삼하 24:11-14). 또한 그는 다윗 왕에게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마당을 구입하도록 충고하였는데(삼하 24:18; 대상 21:18), 후에 그곳은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한 터가 되었다(대상 22:1). 뿐만 아니라 성전의 음악을 위해 레위 사람으로 하여금 성전에 거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대하 29:25). 그는 나단과 협력하여 왕에게 귀한 조언을 하였던 것으로 보여진다(대하 29:25).

 

갓2(Gad)

다윗이 인구조사를 시작한 지점. '갓 골짜기'로 불리기도 한다(삼하 24:5). 본래는 요단 동편 길르앗이었는데, 이곳을 갓 지파가 모세에게 청하여 받은 후로 '갓'이라 칭하게 되었다(민 34:14). 목축과 농업에 적합한 땅으로 알려져 있다. 

 

갓3(The furtune)

이방신의 이름. 유대인 배교자들이 운명신인 '므니'와 함께 섬긴 운수신을 지칭한다(사 65:11). 이 신은 본래 에돔과 아랍에서 숭배되었던 것인데, 이스라엘이 이 지역에 포로로 끌려와 살게 되면서 문화의 혼합 현상 및 동화의 과정을 거쳐 받아들여지다가 포로 후에 귀환한 사람들을 통해 팔레스타인으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