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거역(하다) / 거울 / 거저

거역/-하다(rebel)

윗사람의 뜻이나 명령을 어기어 거스르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은 사람이 처음에 체결한 계약을 파기한다든가, 혹은 배반하는 일을 의미한다. 성경에서는 이것을 하나님께 대한 배반, 또는 하나님과의 계약을 파기하는 행위와 관련하여 언급하였다(딤후 2:25). 즉 이스라엘을 선택하여 키워주신 하나님의 사랑과 노고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배반하는 이스라엘을 나타낼 때 이 말이 사용되었다(사 1:2). 이것은 '범죄', '허물'과 함께 죄를 표현하는 상대어로 언급되어 있다(사 1:2-4). 이외에도 부모에 대하여 불순종하는 경우에(롬 1:30; 딤후 3:2), 그리고 왕이나 높은 지위에 있는 자의 명령을 듣지 않는 경우(스 4:19; 단 3:28; 행 17:7)에도 이 단어가 적용되었다. <참조> 거스르다

 

거울(mirror)

빛의 반사를 이용해 얼굴이나 여러 가지 모습을 비추어 보는 기구로 B.C. 3000년경부터 사용되었다. 고대의 거울은 표면을 닦아서 광을 낸 금속으로 만든 것이었다. 처음에는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했고, 점차로 은을 소재로 생산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것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정방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졌고, 대개 나무나 상아 손잡이가 달려 있거나 아니면 손잡이가 없는 것도 발견된다. 거울이 처음 제조되었을 때에는 아주 고귀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왕들과 왕자들이 서로 교환한 선물 목록 가운데서 이것이 자주 언급되었다. 시대가 흐르면서 이것은 점차로 여인들의 장신구와 함께 널리 유행했다. 포로 이후부터 로마 시대까지의 수많은 거울들이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욥기 37:18에서 엘리후는 하늘을 녹여 부은 거울에 비유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거울이라 할지라도 그 영상이 명료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고전 13:12; 약 1:23). 바울은 그의 서신에서 이 말을 비유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는 당시의 거울이 실체를 뚜렷하게 반영해 주지 못한 점을 들어서 인간의 지식이 지닌 제한성을 드러내었다(고전 13:12). 또한 그는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함을 받은 그리스도인들을 마치 거울을 보는 것같이 주의 영광을 보며 저와 같은 형상으로 화하여 영광에 이른다는 사실을 역설하였다(고후 3:18). 한편 야고보는 자유하게 하는 율법을 사람이 자신을 비추어 보는 거울에 비유하였다(약 1:23-25). 

 

거저(free of charge)

'아무 대가 없이', '무료로'의 의미를 가진 부사어이다. 이 말은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아무 대가 없이 준 은사와 복음에 관련하여서 언급되었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을 둘씩 짝지어 전도대로 파송하시면서 그들이 받은 은사들이 거저 받은 것이므로 나누어 줄 때도 거저 줄 것을 명하셨다(마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