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성경사전) 에스골 / 에스골 골짜기 / 에스디올 / 에스더 / 에스더서

에스골 Eshcol

헤브론 부근에 살던 아모리 사람으로, 그는 마므레와 아넬의 형제이며 헤브론에서 아브라함과 동맹을 맺은 자였다. 그들은 롯을 구출하기 위하여 그돌라오멜과의 싸움에 함께 참여하였다(창14:13-24).

에스골 골짜기 valley of Eshcol

모세가 보낸 열두 명의 정탐꾼들이 그 땅의 풍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두 사람의 장정이 들어야 할 정도로 큰 포도 한 송이를 베었던 헤브론 북쪽의 골짜기이다(민13:23-24;32:9;신1:24). 이는 히브리어 원어의 뜻이 과실이나 들의 송이 다발을 의미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사65:8;미7:1-포도송이, 아7:8-포도나무나 대추나무 등의 송이에 붙어 있는 열매와 꽃열매, 아1:14고벨화 송이). 포도밭으로 유명했던 지역인 '라멧 엘-아물레'의 북쪽에서 발원하는 와디와 동일시된다. 이 와디 곁에 솟아 있는 '부리하스케' 는 에스골이 와전된 형태일 수 있다.

에스디올 Eshtaol

유다 지파의 성읍. 단 지파의 성읍으로도 등장한다. 여호수아에 의한 두번째 영토 분배(수18:2이하) 때에 유다 지파에게 할당된 성읍이나, 성경에서는 단 지파의 성읍으로도 등장한다. 여호수아에 의한 두번째 영토 분배(수 18:2;19:40이하) 때에 유다의 최북단 지역이 단 지파에게 주어졌던 것 같다. 그곳은 주로 사사기에 많이 등장하는데, 소라와 나란히 쓰여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삿13:25; 16:31;18:2, 8,11). 하나님의 신이 삼손을 감동시킨 곳이 에스다올과 소라 사이에 위치한 마하네단이었으며, 삼손이 장사된 곳도 이곳이다. 에스다올과 소라는 또한 단 지파의 중심지였던 바, 단 지파가 이주할 북쪽 땅을 정탐할 5명의 용사와 또 다른 600명의 군사가 이곳에서 출정하였다. 오늘날의 위치는 예루살렘에서 서쪽으로 21km 지점이며, 소라에서 동쪽으로 2.5km 지점인 '에쉬와' 와 동일지역으로 본다.

에스더 Esther

바사(페르시아)왕 아하수에로(B. C. 485-465) 치세 때에 바사의 도성수산에 살았던 용모가 뛰어난 유대인 소녀로 에스더서의 주인공이다(에2:7-8,10). 고레스 왕의 명에 의해 바벨론 포로 생활이 끝나고 많은 유대인들이 고국으로 귀환(스룹바벨에 의해 인도된 제1차 귀환)한 이후에도 귀환하지 않고 바사 제국에 남아 있던 사람 중 한 사람이다. 일찍부터 부모를 여의고 사촌 모르드개의 집에서 딸처럼 양육되다가 아하수에로가 폐위시킨 왕비 와스디 (에1:9-22)를 대신해 왕비로 선택되었다. 에스더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하나님과 그의 의를 위해 사용함으로써 자기 민족을 구해내는 용감성과 충성심으로 널리 알려진 여인이다.
에스더가 왕후가 되고 5년 가량 지났을 때 당시 최고 대신이었던 하만이 자신에게 무릎을 꿇지 않는 모르드개로 인하여 제국 내의 모든 유대인을 멸절시킬 조서를 왕으로 하여금 반포하게 하였다. 이에 에스더는 자기의 목숨을 돌보지 않고 왕 앞에 나아가 왕으로 하여금 반포했던 조서를 취소하게 함으로써 자기 동족의 목숨을 구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대적자들까지도 멸절시킬 수 있었다. 이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수산에 있는 유대인들은 아달월 14일과 15일 양일간 잔치를 베풀어 즐겼으며, 왕후 에스더는 이후 매년 이날을 부림일(the days of purim)로 정하여 지키도록 했다(19:17-32), 에스더서에는 에스더의 이름이 두 가지로 기록되어 있다. 하나는 히브리식 이름으로 '하닷사' 이고, 또 하나는 페르시아어를 히브리식으로 그대로 음역한 이름으로 '에스더' 이다. 아마도 그녀가 페르시아 왕후로 임명되어 공식적인 호칭을 받을 때부터 에스더라는 이름으로 부른 듯하다.

에스더서 The Book of Esther

1. 명칭. 역사서에 속하는 것으로, 구약성경 가운데 17번째 책이다. 히브리 원전을 율법서, 예언서, 지혜서 및 시가서로 구분할 때, 이 책은 세번째 목록인지혜서 및 시가서에 속하며, 지혜서 및 시가서 중에서도 둘째 5메길로트(룻기, 아가, 전도서, 애가, 에스더)의 마지막 책이다. 바사왕 아하수에로의 왕비가 된 유대인 처녀 에스더가 유대인을 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 주인공이기 때문에 에스더서라 명칭한 것으로 보인다.
2. 저자. 에스더서는 익명의 저자가 쓴 것이다. 에스더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문서들은 공식적인 궁정기록들(에2:23;6:1;10:2)과 이 일에 대한 모르드개의 기록(9:20,23,29-32) 등이 있다. 이러한 설명을 참고할 때 이 책의 저자는 모르드개일 수도 있는데, 그것은 모르드개가 자신이 쓴 책이 궁정 기록에 포함되기를 원해서 일부러 하나님의 이름은 생략하고 썼다고(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한 곳에도 명시되어 있지않음)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다만 가능성에 불과하다. 부림절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를 쓰기 원하던 어느 저자가 페르시아의 연대기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저자는 수산 궁궐 주변과 건물, 그리고 바사 관습에 대한 개인적 지식이 있는 유대인이며, 모르드개의 기록인 왕조실록과 왕의 조서에 쉽게접근할 수 있던 인물일 것으로 생각되고, 탈무드는 그저자를 에스라 느헤미야가 건설했던 큰 회당원이었을 것이라고 본다.
3. 저작시기와 목적, 에스더서의 저작 시기에 대해서도 여러 주장이 제시되어 왔지만 B. C. 400년경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입장이다. 에스더서를 기록한가장 주된 목적은 부림절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에스더서는 역사적 사건과 함께 어느 일정한 날을 선택한 이유와 명칭의 기원을 제시해 주고 있다.부림절의 명칭은 앗시리아어 부르(pur)와 관련되어 있다. 부르란 제비를 뽑기 위하여 던지기에 적합한 작은돌을 가리키는 말이다(3:7;9:24,26). 이 책은 하나님께서 주신 영감으로 기록된 책이 아니라는 이유로 정통파 유대인들에 의해 오랫동안 정경에 포함시키는것이 거부되어 오다가 A. D. 90년 얌니아(Jamnia) 회의에서 전도서, 아가서와 함께 정경으로 인정되었다.
4. 내용. 에스더서의 내용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서의 제일 처음은 페르시아의 아하수에로 왕이 왕비 와스디가 자신의 명에 순종하지 않자크게 노하여 폐위시키는 내용으로 전개되어 있다(1:122). 그 자리를 대신할 왕후로 수산 성에서 사촌 오빠모르드개에게 양녀처럼 자라던 에스더가 뽑히고, 그오빠 모르드개 또한 우연히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발견하여 왕의 생명을 구하게 된다(2:1-23), 그러나 모르드개가 신임 총리대신 하만의 적의를 사게 되고, 하만은 왕을 선동하여 제국 내의 유대인을 전멸시킬 음모를 꾸민다. 그가 내세운 구실은 유대인의 법률은 다른 민족과 달라서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3:8). 이 일을 전해들은 에스더가 모르드개의 말에 힘을 입어 생명을 걸고 왕 앞에 나아가기로 결심하왕으로 하여금 유대인을 죽이도록 허용한조서를 취소하게 한다(5:1-9:19). 하만은 모르드개를 목매달아 죽이기 위하여 마련해 놓았던 교수대에 도리어자신이 매달려 처형되고, 유대인들은 자기들의 대적자들에게 복수하였으며, 모르드개는 신임 총리대신이 되있다. 그러자 모르드개와 에스더는 유대인이 원수의손에서 구출된 그날들을 기념하기 위하여 해마다 부림일의 절기를 지키도록 규례를 정하였다(9:20-32). 끝으로 이 책은 왕과 모르드개의 사적이 메대와 바사 왕의일기에 기록되어 있음을 말하고 있다(10:1-3).
5. 의의. 본서는 하나님의 이름이 기록되지 않았다고 해서 하나님께서 섭리하시는 손길이 미치지 않는것은 아니라는 것과 사람이 적절한 시기에 그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어떻게 있게 되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일은 그냥 우연히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에스더가 마음을 다해 드린 금식(기도)도 또한 하나님의 계획을 성취함에 있어서 큰 역할을감당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에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