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 spare
남을 동정하는 따뜻한 마음을 말한다. 히브리어 원어상 이 단어는 절박한어려움으로부터 그것의 주체를 피신시키는 행위로 귀착할 수도 있는 감정을 의미한다. 욥은 자신이 당한육체적 고통의 정도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기 위해서“하나님께서 그 살로 나를 사방으로 쏘아 인정없이 내허리를 뚫었다" (욥16:13)고 탄식하였다.
인정하다 acknowledge
이 단어는 원어상 매우 다양한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선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으로 보다, 여기다, 생각하다, 평가하다' 등의 의미로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느13:13;88:4). 이 단어는또한 하나님의 속성과 그의 일에 대한 인간의 공적인선포나 선언(고백)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는데(왕상8:33,35;대하6:24,26) 이는 하나님의 징계에 대해 합당하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죄과를 자백할 뿐 아니라 구체적으로 뉘우치는 것을 말한다. 이 단어는 지식, 특히 개인적이며 경험적으로 체득한 신뢰를 통해 옳다고 여기는 것을 가리키는데 '하나님께서 의인의 행위를 옳게 여기심' (시 1:6) 혹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통해 범사에 그분을 옳다고 여김'(잠3:6) 등을 의미하는 구절에서 나타난다. 또한 이 말은 '존경이나 감사를 표하며 자인하다' 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아버지는 정자에게 두 몫을 줌으로써 장자를 인정해야만했다(신 21:17), 모세가 마지막으로 레위 지파를 축복한 말에서 레위는 그의 형제들을 '인정하지 않고, 즉그의 형제들을 외면하고 주의 계명을 순종하였다(신33:9)고 나타난다. 이사야 선지자는 이스라엘에 관해“무릇 이를 보는 자가 그들을 여호와께 복받은 자손이라 인정하리라" 라고 예언하였다(사61:9). 또한 '간주하다' 라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야곱은 장인 라반과의 세번째 고용 계약에서 조건부 배율 분배 방식으로품삯을 정하기로 체결하면서 후일에 라반이 자기의 품삯을 조사하여 순백(純白)의 양이나 순흑(純黑)의 염소를 발견하면 다 도적질한 것으로 인정하라고 제안하였다(창30:33).
이 단어는 신약성경에서도 역시 여러 가지 의미로사용되고 있다. 신약성경에서 자주 나타나는 용례는하나님의 감찰하시는 눈 아래에서의 그리스도인들의상황에 입각하여 사용되는 경우이다. 이 때 이 단어는'시험' 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따라서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신뢰받을 수 있는' 또는 '존경받는, 귀중한'을 의미한다. 인간의 삶은 마지막 심판에서 절정에 달하는 하나님의 시험 아래 놓여있으며(약1:12), 이시험은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 (고후10:18;약1:12.참고. 롬16:10;딤후2:15), 즉 하나님께서 칭찬하시는 진정한 신앙인들을 구별해 낸다. 또한 이 단어는 의롭게하는 그리스도의 역사의 효험에 대한 믿음의 확신을가리키는 말로도 나타난다(롬3:28). 이 경우 이 단어는“무조건 타당하며 반대를 가질 수 없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예수께서는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인정되셨으며, 세례 요한은 백성들로부터 선지자로 인정받았다.
인종 seed
사람의 종자. 사람의용모, 골격 따위의 다름으로 구별되는 종별을 의미한다. 히브리어 원어상 이 단어는 '어느 하나의 전 계보에 속해 있는 많은 사람들'을 가리킨다(단2:43), 소돔과 고모라가 멸망할 때 살아남은 롯과 그의 두 딸은 굴에 거했는데, 이 때 두 딸은 인종(공동번역 '씨')을 전하기 위해 아버지 롯과 동침하였다(창19:32,34). 모세는 이스라엘 총회에 들려준 노래에서 "지극히 높은 자가・・・ 인종(공동번역 '인류')을 분정하실 때에 이스라엘 자손의 수효대로 민족들의 경계를 정하셨도다" (신 328)라고 노래했다.
인증
다른 사례(글 따위)를 끌어다가 증거를 삼는 것을 말한다. 의사가 자기 약으로 자기를 고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의 "의원아 너를 고치라" 라는 속담을 인용하여 나사렛의 유대인들이 예수께 메시야이심을 인증하기 위한 표적 행할 것을 구하리라는 말씀 가운데서 언급되었다(눅4:23).
인진 wormwood
엉거시과(科)에 속하는 다년초인 사철쑥을 말한다. 팔레스타인에는 많은 종류의 인진들이 자라고 있다. 그러나 성경에서 언급된 인진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Artemisiaberbaalba 또는 Artemisia Judaica(유대 인진)로 보인다. 이 풀은 독성(毒性)은 없으나,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닥치는 화(禍)의 상징어로 나타난다(암 5:7;6:12). 성경에는 같은 원어가 '쑥' 으로 번역되어 있는 곳도 있다. 호세아 10:4에 나오는 '인진', 즉 '쓴풀’은 이것과는 또 다른 의미의 단어로 ‘유독한 식물’을 일컫는 말이다.
'GOODWILL CHURCH > 성경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사전) 일가 / 일경 / 일곱 / 일곱 교회의 사자들 / 일곱째 (0) | 2022.10.24 |
---|---|
(성경사전) 인치다 / 인하다 / 인형 / 일1 / 일2 / 일3 / 일4 (0) | 2022.10.24 |
(성경사전) 인자1 / 인자2 / 인장 / 인장반지 / 인적 (0) | 2022.10.24 |
(성경사전) 인수 / 인심 / 인애 / 인연 (0) | 2022.10.24 |
(성경사전) 인봉(하다) / 인분 / 인사(하다) / 인색 / 인생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