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문 모음/송태근목사님

[히브리서 강해 시리즈] 15강 멜기세덱과 그리스도 | 히브리서 7장 1-10절 | 송태근 목사님 | 삼일교회 | 설교문 강해 녹취록 요약 정리

멜기세덱의 신비한 존재

오늘 우리는 히브리서 7장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본문은 멜기세덱에 집중하여 신비한 존재로서의 그의 역할을 탐구합니다. 멜기세덱에 대한 정보는 적고 신비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학자들 사이에서도 그의 존재가 역사적 인물인지, 천상의 상징적인 존재인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성경 전체의 균형 잡힌 해석을 따르며, 멜기세덱이 역사적 실존 인물이면서도 천상적 존재의 의미도 동시에 갖는다고 봅니다. 이렇게 이해할 때 전체적인 해석에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성경 해석에서의 겸손과 하나님의 자유

성경을 해석할 때 명확한 답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노아의 방주에서 사용된 규빗의 단위에 대해 생각해보면, 개인의 신체적 차이에 따라 규빗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이 단위를 그렇게 설정하신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성경을 해석할 때 겸손한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때로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의도와 품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멜기세덱에 대한 성경적 소개

히브리서 7장에서 멜기세덱은 ‘살렘의 왕’이자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으로 소개됩니다. 이 표현은 구약 성경에서도 두 가지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납니다. 첫 번째로, 그는 의의 왕이자 평강의 왕으로 묘사됩니다. 두 번째로, 그는 하나님의 제사장으로서 아브라함과 만났을 때 복을 빌었습니다. 멜기세덱은 성경에서 몇 가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중요한 인물로 해석됩니다.

 

히브리서의 멜기세덱 해석의 의도

히브리서 기자는 멜기세덱을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당시 그리스도인들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려 했습니다. 당시 그리스도인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아라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율법주의로 돌아가려는 유혹에 시달렸습니다. 이에 히브리서 기자는 멜기세덱의 예를 들어 그리스도가 대제사장이며, 그 제사장이 단순히 레위 지파의 혈통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하려 했습니다. 멜기세덱이 예수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을 예표하는 인물임을 설명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멜기세덱과 그리스도의 관계

멜기세덱은 그리스도의 모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히브리서 7장에서 멜기세덱은 ‘의의 왕’이자 ‘평강의 왕’으로 소개됩니다. 이 두 가지 특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속성과 일치합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의로움이시며, 또한 우리의 평강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성경은 멜기세덱이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제사장 직분을 예시하는 인물임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예수님의 제사장 직분이 레위 지파의 직분을 초월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합니다.

 

멜기세덱의 신비와 예수 그리스도

멜기세덱에 대한 성경의 정보는 적지만, 그의 존재는 신비로운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의 출생과 죽음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로운 존재와도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없는 상태에서 이 땅에 오셨고, 그의 출생과 죽음에 대한 의문은 오늘날까지 풀리지 않은 신비로 남아 있습니다. 멜기세덱의 생애도 마찬가지로 신비하게 다루어지며,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속과 평강

멜기세덱의 신비한 존재는 예수 그리스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예수님은 멜기세덱의 반열을 따라 대제사장으로서 우리를 대신하여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 값을 치르시고, 부활을 통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셨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받았으며, 그 안에서 평강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진리는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큰 위로와 소망을 제공합니다.

 

풀버전 영상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