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DWILL CHURCH/성경사전

(2120)
(성경사전) 해면 / 해몽 / 해물 / 해방하다 / 해변 해면 face of the depth 바다의 표면을 일컫는 말이다. 원어상의 의미는 '깊은 바다' 또는 '태고의 바다' 로, 창세기 49:25의 '원천'과 같은데, 원천은 땅 밑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늘 아래 있는 것이다. 이 단어는 창조 사역에 있어서의 지혜의 역할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 문맥 중에 '궁창으로 해면에 두르셨다' (새번역 '깊은 바다 둘레에 경계선을 그으실 때에도' )는 말로 언급되어 있다(잠8:27). 해몽 interpretation of dream 꿈의 길흉을 풀어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역성경에서 해몽이라는 말이 직접적으로 사용된 곳은 하나님께서 의기소침해 있는 기드온에게 용기를 주시기 위해 적진에 잠복해 상대편 군사들이 나누는 꿈과 해몽 이야기를 듣게 되는 기사에서이다(삿7:1..
(성경사전) 해당(하다) / 해독 / 해돋다(해뜨다) / 해로 / 해만 해당/-하다 무엇에 들어맞음을 의미하는 말이며, 원어상으로는 어떤 것의 지배를 받는 것이나 일치하는 면을 표시하는 단어이다. 이 단어는 형벌, 곧 '사형' 과 함께 쓰여 '유죄한'을 의미하거나, '합당하다. 일치하다' (마26:66; 막 14:64; 롬 1:32)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해독 '해와 독'을 가리킨다. 의심의 법의 대상이 된 여자에 대한 판결 절차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이 말은, 저주가 되게 하는 쓴 물을 통해서 오는 고통을 가리킨다. 만일 간통하지 않은 여자가 마셨을 경우에는 아무 이상이 없으나, 간통한 여자가 마시게 되면 '넓적다리로 떨어지고 배가 부어서' 공동번역 '성기가 마르고 배가 부어올라서') 백성들의 저줏거리, 맹세거리가 될 것이라고 모세 율법에 언급되어 있다(5:19-21)...
(성경사전) 해결 / 해고 / 해골 / 해골의 곳 / 해달 해결 part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것, 여러 가닥으로 꽁꽁 얽힌 일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단어로 번역되어 있는 히브리어 원어의 뜻은 '나누다, 구분하다' 인 바 집인 18:18의 '해결케 하느니라'는 제비뽑기가 법적 투쟁을 벌이고 있는 강력한 세도가들을 판가름 한다는 것을 지칭한 말이다. 해고 gulf of sea 물이 흘러나가고 들어오는 바다의 어귀를 일컫는 말이다. 히브리어 원어상으로는 바다 안으로 내민 땅의 '혀' 를 의미하는데 RSV the tongue of the sea'), 하나님께서 이집트 바다의 큰 물굽이, 즉 홍해를 말리신 사건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이사야 11:15에 쓰여져 있다(공동번역 '바다의 물목', 새번역 '바다의 큰 물굽이' ). 해골 skull 죽은 사람의 살이 썩..
(성경사전) 항해하다 / 해1 / 해2 / 해3 / 해갈 항해하다 go down to the sea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는 것을 의미한다. '항해하다'는 원어상'(선원들이 바다로 내려가다' 라는 뜻을 지닌 말인데, 이는 서쪽으로 지중해와 그리고 동편으로 해수면보다 훨씬 고도가 낮지만, 물 깊이가 깊은 아라비아 계곡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팔레스타인 산지의 핵심적 위치에 있어 어디를 가나 '올라가거나' 혹은 '내려가야 하는 이스라엘의 지형적 특징으로부터 기인된 표현이다. 메시야를 통한 구원의 약속을 제시하고 있는 이사야 42장에서 '항해하는 자'는 구속의 노래를 불러야 할 주체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0절). 한편 에스겔 26:17에는 '뱃사람, 선원 생활을 하는 자'라는 의미의 '항해자' 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다. 해1 sun 창세기에 언급되어져 있는 하나..
(성경사전) 항상 / 항상 드리는 소제 / 항아리 / 항오 / 항용 항상 always 늘, 일상 등을 뜻하는 말로서,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대부분 영속성, 특히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끊임없는 영속성을 가리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다(시 73:12;암1:11). 이 단어가 좀더 특별하게 쓰여진 경우 그것은 '연속, 계속' 이라는 의미를 내포한 말일 수 있다. 이러한 용법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하나님께 계속드리는 번제 또는 소제(레6:20;민4:16;느10:33;겔46:15), 혹은 언제나 진설하는 떡(출25:30;민4:7) 등과 관련된 진술들에서 발견되어지며, 또한 제의적 의무의 계속성을 강조하고 있는 구절들에서도 보여진다(출28:30). 이 단어는 개인적 헌신의 계속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도 사용되고 있는데(호12:6), 이와 비슷하게 시편기자는 하나님을 계속 송축할 것..
(성경사전) 핫스누아 / 항거하다 / 항구 / 항만 / 항복하다 핫스누아 Hassenuah 1.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에서 살았던 베냐민 자손 살루의 증조부이다(대상9:7). 2. 느헤미야 시대에 예루살렘을 다스리는 두번째지휘관이었던 유다의 아버지이다(느11:9). 1항과 동일인물인 것 같다. 항거하다 against '대항함'을 의미하는 말이다. 성경에서 이 단어는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법과 행위에 관련하여 언급되어 있는 바시 74:23), 유다 백성들의 죄악상을 고발하는 예레미야의 첫번째 설교에서 관리들의 상태를 묘사한 말로 쓰여졌다(렘 2:8, 공동번역 '거역하다'). 항구 haven 배가 드나들고 머무는 곳을 뜻한다. 구약성경에서 언급된 이 단어는 '도시'를 의미하는 아카드어 '마하주'(mahazu)에서 유래한 히브리어에 대한 번역어로, 여호와의 구원 행동에 대한..
(성경사전) 합하다 / 합환채 / 핫두스 / 핫딜 / 핫숩 합하다 join unto '여럿이 하나가 되다' 라는 말로서, 구약성경에서의 이 단어는 사람들을 한 사회 속으로 통합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한 말이다. 이 단어는 이스라엘의 인구 증가에 대한 애굽인들의 조바심어린 표현 가운데 언급되어 있는데, '동맹하다'의 뜻을 지니고 있다(출1:10). 한편, 신약성경에서 언급된 이 말은 원어상으로는 몇 가지 서로 다른 개념을 담고 있다. 우선이 단어는 '함께 연합하다' 라는 의미로 쓰여져 있는데, 마태복음 19:5과 에베소서 5:31의 경우 결혼을 통한부부의 결합을 의미한다. 또한 성관계를 맺는 것(고전6:16 이나 주와 연합하는 것(고전6:17)도 이 단어를 사용하여 기록하고 있다. 이 단어는 '하나되다, 일치하다'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성경사전) 합분태 / 합비세스 / 합심하다 / 합의 / 합주 합분태 dove's dung 비둘기 똥을 뜻한다. 성경에서는 이것이 가장천하고 불쾌한 식료품 가운데 하나였음에도 불구하고이에 지불되었던 터무니 없이 폭등된 가격을 말함으로써 아람 왕 벤하닷에 의해서 포위되었던 당시 사마리아 성의 굶주림과 식량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있다(왕하6:25).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티투스 장군의 예루살렘 포위시 비참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가축의 똥까지 먹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단어가 가리키는것이 실제의 비둘기 똥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최근에 '합분태' 는 삶거나 볶으면 먹을 수도 있어 빈민들이 식용으로 삼았던 '베들레헴의 별'(학명:오린토 갈룸, orinthogalum umbellatum L.)이라불리는 식물의 속명(俗名)이라고 알려졌다. 이 이름은팔레스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