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문 모음 (1946)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21강 말할 수 없는 은사 | 고린도후서 9장 1-15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교회와 교역자 양성의 중요성교회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떠드는 모습이 자주 보입니다. 전도사님이 말씀을 하실 때, 아이들이 잘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예배가 끝난 후 아이들에게 물어보면 모두 다 들었다고 합니다. 반면에 어른들에게 광고를 하면, 처음에는 다 듣는 것처럼 보이지만 끝나고 나면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여러분, 이것이 사실인가요? 그렇습니다, 고개를 끄덕이시는군요. 교회가 하는 중요한 역할교회는 미래의 교회 지도자가 될 교역자를 양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좋은 교회는 좋은 교역자를 많이 양성하는 교회입니다. 그래서 좋은 교역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훈련을 받아야 하고, 설교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6월 첫째 주일 예배 광고 시간에 강은숙 목사님께..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20강 선한 일에 조심하려 | 고린도후서 8장 16-24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연보와 헌금의 차이연보는 성경에서 번역되는 관대한 선물, 즉 인간의 반대 없이 하나님께 드리는 헌금을 말합니다. 이 헌금은 나의 복뿐만 아니라 나를 대신해서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헌금과 연보는 동일시될 수 없습니다.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이 제물을 하나님께 바칠 때, 그것은 곧 자기 자신을 바치는 행위였으며, 제물은 형상이나 효용성을 갖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 드리는 헌금은 그 자체로 하나님에 대한 헌신과 중심이 중요합니다. 사도 바울의 구제 연보에 대한 가르침사도 바울은 이웃과의 사랑을 실천하는 구제 연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는 마게도니아 교회들의 간절한 사랑을 예로 들며, 고린도 교인들에게 사랑의 진실함을 증명하기 위해 구제 연보를 실천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예루살렘 교회가 ..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9강 너희를 부요하게 | 고린도후서 8장 1-15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고린도후서 5장 11절부터 7장 16절까지의 내용우리는 고린도후서 5장 11절부터 7장 16절까지의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본문에서는 사도 바울이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사도직의 본질적 목적이 하나님과의 화목에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고린도 교회가 거짓 교사들과 거지 사도들의 침투로 심각한 영적 위기에 빠졌지만, 교인들이 마침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눈물의 편지와 고린도 교회의 회개고린도 교회가 하나님과 화목하게 된 것은 사도 바울이 보낸 눈물의 편지 덕분이었습니다. 이 편지는 고린도 교회 교인들의 잘못을 준엄하게 꾸짖은 내용이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그 편지를 보내고 난 후 잠시 후회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교인들은 하나님의 말씀 앞에서 거룩한 근심을..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8강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 | 고린도후서 7장 8-16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고린도후서의 사도 바울의 사도직고린도후서 5장 11절 이후, 사도 바울은 자신에게 주어진 사도직의 본질적 목적이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것임을 분명히 밝힙니다. 이 내용은 고린도후서의 마지막 단락에서 강조됩니다. 우리는 이 부분을 살펴보며 고린도서 전체의 배경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도 바울의 고린도 교회 설립사도 바울은 제2차 선교 여행 중 고린도에 머무르며 고린도 교회를 세웠습니다. 이 교회는 바울이 고린도에서 1년 6개월을 머무는 동안 세워졌습니다. 원래 바울은 고린도를 방문할 계획이 없었지만, 안티오키아 교회의 선교사 파송으로 인해 1차 여행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차 선교 여행의 시작바울은 바나바와 함께 1차 선교 여행을 떠났고, 마가라는 청년을 동행했습니다. 골로새서 4장 10절에..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7강 기쁨이 넘치는도다 | 고린도후서 7장 4-7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도직과 하나님과의 화목5장 11절부터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사도직의 궁극적 목적이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데 있음을 계속 설명해왔습니다. 하나님과 화목한다는 것은 죄의 상태에 빠져 있던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새로운 피조물로 회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 속에서 그런 직분을 감당하는 것은 정말 귀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강권적인 사랑과 은총하지만 바울은 그 직분을 하나님의 강권적인 사랑에 의해서 받았다고 고백합니다. 자신에게는 그런 자격이 없었음을 인정하며, 하나님의 일방적인 은총으로 선택되어 사도직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사도 바울은 환란과 핍박 속에서도 ..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6강 함께 죽고 함께 살게 | 고린도후서 7장 2-3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도직과 그리스도인의 삶고린도후서 5장 11절 이후의 내용을 통해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부여하신 사도직의 궁극적인 목적이 하나님과 사람을 화목하게 하는 것임을 계속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두 하나님과 사람을 화목하게 하는 사도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 사도직은 단지 2000년 전의 특정 인물들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구원과 교회의 부르심구원은 하나님의 부르심입니다. 우리가 먼저 하나님을 찾지 않았고, 하나님께서 먼저 우리를 불러주시어 교회를 이루게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신 이유는 우리가 세상에 보내지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동시에,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할 사명도 받은 것입니다. 하나님과 화목하는 삶사도 바..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5강 마음을 넓히라 | 고린도후서 6장 3-13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도직과 하나님과 화목하는 직무고린도후서 5장 11절부터, 사도 바울은 자신이 부여받은 사도직의 본질적 목적이 하나님과 화목하는 데 있음을 계속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고린도후서 6장 3절에서 13절에 이르기까지, 바울은 하나님과의 화목을 위해 자신이 얼마나 헌신하며 살아왔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사도 바울은 그 직무가 비방받지 않도록 모든 행위에 신중을 기했습니다. 화목케 하는 직무와 사도 바울의 헌신6장 3절에서 바울은 자신의 직분이 비방받지 않게 하려고 어떤 일을 행하거나 누구에게도 악의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직무를 감당하기 위해서 바울은 항상 신중하게 자신의 행위와 태도를 점검했습니다. 그는 그 직무를 감당하기 위해 환란과 ..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4강 마음을 넓히라 | 고린도후서 6장 3-13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명과 하나님과의 화목고린도후서 5장 11절부터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사도직의 본질적 목적이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데 있음을 계속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보았던 고린도후서 5장 18절부터 6장 2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바울은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서 나아가며, 그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셨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화목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명확히 설명한 것입니다. 불화에서 화목으로, 인간의 반역을 넘어서는 구속의 역사화목이라는 단어는 불화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는 본래 불화가 아닌, 단절이 존재했습니다. 인간이 하나님의 법을 무시하고 죄를 범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