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문 모음 (1946)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3강 하나님과 화목하라 | 고린도후서 5장 18절-6장 2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명과 그리스도의 강권적인 사랑고린도후서 5장 11절부터 17절까지는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사도직의 본질을 밝히고, 그리스도의 강권적인 사랑이 자신을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는 사명으로 이끌었다고 고백하는 내용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자신을 사로잡았고, 이를 통해 사람들과 하나님이 화목하게 되는 사명을 받았다고 설명합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에 미쳐서바울은 자신이 그리스도의 사랑에 미쳤다고 고백합니다. 미친다는 의미는 단순히 정신적 이상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게 완전히 빠져들어 하나님을 향한 사랑에 열정을 쏟는다는 의미입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부정했던 사람에서 하나님에게 미친 사도로 변화한 것입니다. 새로운 피조물로서의 삶사도 바울은 17절에서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2강 새 것이 되었도다 | 고린도후서 5장 11-17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고린도후서 4장 1절부터 10절까지의 사도 바울의 사도직 수행고린도후서 4장 1절부터 10절까지는 사도 바울이 자신에게 주어진 사도직을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한 자세를 설명한 내용입니다. 사도 바울은 자신이 맡은 사도직을 확고하게 수행할 수 있었던 이유를 네 가지로 밝혔습니다. 사도 바울이 사도직을 수행할 수 있었던 이유첫 번째 이유는 바로 하나님의 긍휼이었습니다. 바울은 자신의 의지나 결단으로 사도직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께서 주신 긍휼로 가능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먼저 바울을 찾아가셔서 그에게 은혜를 베푸셨습니다. 그 은혜로 인해 사도 바울은 사도로서 자신의 생명을 걸었습니다.두 번째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빛이 자기 속에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1강 우리의 속사람은 | 고린도후서 4장 16절-5장 10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도직 수행과 자세사도 바울은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를 수행하는 자세에 대해 강조하며, 이를 통해 오직 주님만을 위해 살아가는 사도직의 참된 모습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고린도후서 1장부터 6장까지의 내용은 그의 사도직 수행이 자신의 의지나 결단이 아니라 하나님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사도의 확고한 자세와 고백지난 시간에 살펴본 고린도후서 4장 6절부터 15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바울은 사도직을 수행하면서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자세를 재천명했습니다. 그는 사방으로 옮겨 쌓일지라도 낙심하지 않으며, 박해를 당해도 절대로 물러서지 않겠다고 고백했습니다. 오히려 자신을 부인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만을 드러내기 위해 살아간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바울은 사도직의 핵..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10강 보배를 질그릇에 | 고린도후서 4장 7-15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고린도후서 4장 1절부터 5장 10절까지고린도후서 4장 1절부터 5장 10절까지는 사도로 부름 받은 사도 바울이 사도의 직무를 수행하는 자신의 자세를 밝히며, 그가 지닌 그 자세의 토대가 주님의 금술하심을 밝히는 내용입니다. 지난 시간에 4장 1절부터 6절까지 살펴본 바 있습니다. 바울의 사도직과 긍휼의 토대바울은 4장 1절에서 "그러므로 우리가 이 직분을 받아 긍휼하심을 입은 것처럼"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의지나 결단이 아닌 주님의 긍휼하심으로 사도가 되었음을 강조합니다. 그는 사도의 직무를 수행하는 자세를 밝히며, 그 긍휼의 토대 위에서 자신은 '낙심하지 않고', '숨은 부끄러움의 일을 버리고', '하나님의 말씀을 혼잡하게 하지 않으며', '오직 진리를 나타내어 하나님 앞에서 각 사람의 양심에 대하여..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9강 빛을 비추셨느니라 | 고린도후서 4장 1-6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우리는 지난 3주에 걸쳐 고린도후서 3장을 살펴보았습니다. 1절부터 3절까지,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가 주님의 추천서와 같다고 말했습니다. 고린도는 영적으로 불모지였지만, 주님의 역사로 인해 고린도 교회가 세워졌다고 강조하며, 이를 종이로 쓴 추천서와 비교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사도 바울의 직분에 대한 확신4절부터 11절에서는 바울이 주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도로서, 자기 직분에 대한 긍지와 확신을 나타냅니다. 그는 3장 11절에서, 율법의 영광은 없어질 것이지만, 복음의 영광은 영원히 지속된다고 강조합니다. 모세가 받은 율법의 영광도 놀라운 것이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그보다 더 영원하고 영광스러운 직분이라고 말합니다. 모세와 바울의 역할 비교12절부터 18절에서는 모세와 바울의 역할을 비..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8강 주의 영이 계신 곳 | 고린도후서 3장 12-18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고린도후서 3장 1-3절: 예수 그리스도, 사도 바울의 추천서고린도후서 1장 3절에서 3절 사이에서 사도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위한 추천서라고 말했습니다. 영적 불모지인 향락의 도시 고린도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도 바울을 통해 고린도 교회를 세웠다는 사실 자체가 바로 그리스도의 추천서가 되는 것입니다. 그보다 더 좋은 추천서는 없을 것입니다. 사도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확신 (고린도후서 3:4-11)4절부터 11절에서는 사도 바울이 주님께서 자신에게 부여하신 사도직에 대한 긍지와 확신을 피력하는 내용이었습니다. 7절에서는 "돌에 써서 새긴 죽게 하는 율법의 조문도 조문의 직분도 영광이 있어"라고 언급하며, 구약의 율법이 하나님의 영광을 담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사도 바울은 구약 율법이 불완전하..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7강 우리의 만족은 | 고린도후서 3장 4-11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추천서 문제거짓 사도들은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추천서나 자기소개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사도 바울을 비난하는 구실로 삼았습니다. 그들은 사도 바울이 가짜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추천서를 받지도, 자기소개서를 쓸 수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사도 바울은 저명한 인사를 찾아 추천서를 받거나, 자기소개서를 장황하게 쓸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 이유는 자신을 공박하는 자들의 궁극적인 목표가 추천서를 받는 것이 아니라 자기 존재 자체를 부정하려는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따라서 만약 추천서를 보낸다면 그 내용 중 어떤 부분이라도 공격의 대상이 될 것임을 잘 알았기 때문입니다. 고린도 교회, 사도 바울의 추천서그 대신 사도 바울은 다른 사람들이 상상할 수 없었던 추천서를 제시했.. [고린도후서 강해 시리즈] 6강 그리스도의 편지 | 고린도후서 3장 1-3절 | 이재철 목사님 | 100주년기념교회 | 설교문 녹취록 요약 정리 사도 바울의 사도성에 대한 변증지난주부터 살펴본 고린도후서 2장 12절 이후의 말씀은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사도성, 즉 사도로서의 직무 수행에 대한 변증을 담고 있습니다. 사도 바울의 대적자들, 특히 고린도 교회를 혼란에 빠뜨린 거짓 교사들은 사도 바울의 사도성을 공격하며 그가 사도가 아니라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사도 바울을 사도가 아니라고 부정함으로써, 그의 사도 직무가 무효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도 바울과 다른 사도들과의 차이사도 바울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계실 때 선택된 사도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후, 사도들이 마가 다락방에 모여 가롯 유다의 후임자를 선출할 때, 베드로는 사도가 되기 위한 자격 조건으로 예수님의 생애 동안 함께한 사람 중에서 뽑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사도..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244 다음